정부가 내년부터 지방공기업에도 임금피크제 도입을 강제하겠다고 밝히면서 이에 반대하는 지방공기업노조들의 공동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양대 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투쟁본부는 25일 오후 대전 중구 대전도시공사노조 회의실에서 지방공기업노조 대표자들과 회의를 열고 임금피크제의 문제점과 향후 투쟁방향을 논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도시철도공사·도시개발공사·시설관리공단·환경시설공단 등 4개 지방공기업평가군으로 묶인 31개 지방공기업노조 대표자들이 참석한다.

대표자들은 이날 평가군별 노조 현황과 임금피크제 도입에 대한 입장을 공유하고, 공동투쟁을 발제한 뒤 토론한다. 공투본은 △임금피크제·성과연봉제·퇴출제 반대 △임금피크제 도입 관련 개별합의 배제 △공공성 강화와 지역 내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동대응을 담은 공동선언문 발표를 제안할 예정이다.

현재 지방공기업노조들은 각 평가군별 협의회 차원에서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혁과 2단계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에 반대하는 공동결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5개 특별시·광역시 시설공단노조협의회는 지난 6월 가장 먼저 공동합의문을 발표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임금피크제와 직원 대상 연봉제 시행 등 비상식적 정부 정책에 5개 기관이 함께 대응하고, 적극 투쟁하겠다"고 결의했다.

이어 전국철도지하철노조협의회는 이달 12일 모임을 갖고 "임금피크제·성과연봉제·퇴출제를 거부하며, 단위노조별 개별합의를 하지 않는다"는 결의문을 발표했다. 협의회에는 철도노조·서울지하철노조·5678서울도시철도노조·인천교통공사노조·대전도시철도노조·광주도시철도노조·대구지하철노조·부산지하철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공투본 관계자는 "25일 회의에서는 협의회로 묶인 지방공기업노조들은 물론이고 상급단체가 없는 노조들까지 한자리에 모여 공동투쟁을 결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