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2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번 사고로 많은 고귀한 생명을 잃었는데 국민 여러분께 죄스럽고 마음이 무겁다"며 "희생된 분들에게 깊은 애도를 드리고, 가족과 친지·친구를 잃은 슬픔과 고통을 겪고 계신 모든 분에게 진심으로 위로를 드린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사전에 사고를 예방하지 못하고 초동대응과 수습이 미흡했던 데 대해 뭐라 사죄를 드려야 그 아픔과 고통이 잠시라도 위로를 받으실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사과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 분향소를 조문한 뒤 이뤄졌다. 이날 오전 박 대통령은 안산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세월호 사고 희생자 정부 합동분향소'를 방문해 조문했다. 공식조문 시작시간인 오전 10시보다 1시간 가량 앞서 합동분향소를 찾은 탓에 시민들과 마주치지는 않았다.
박 대통령의 조문 소식을 들은 유족들은 현장에서 정부의 부실한 사고수습 대책에 대해 거세게 항의했다. 일부 유족들은 박 대통령의 조화를 분향소 밖으로 치우기도 했다. 분향소 현장에서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은 박 대통령은 국무회의 자리에서야 사과의사를 표명했다.
박 대통령의 사과에도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부실대응 비판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야당은 "박 대통령의 사과에 진정성이 없다"며 "구조작업 최일선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양대 노총도 박 대통령의 사과 표명에 실망한 표정이다. 민주노총은 성명을 내고 "사과를 하려거든 국무회의 안락의자에 앉아서 할 것이 아니라 눈물 맺힌 국민의 시선 앞에 나와야 한다"며 "충성하는 국무위원들에 둘러싸여 그들을 격려하면서 무슨 사죄와 책임을 말한단 말이냐"고 비판했다.
한국노총은 "이번 사고는 국민의 안전보다 기업의 이익을 먼저 고려하는 정부 정책이 부른 참사"라며 "국민의 안전·생명과 직결되는 규제를 강화하고 비정규직 감축과 차별철폐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