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
공공기관 경영평가가 본격화하면서 공공기관노조들이 고민에 빠졌다. 공기업 1군 경영평가 현장실사는 4일부터 시작된다.
3일 오후 한국노총에서 열린 1차 현장 대표자회의에 참석한 20개 공공기관노조 대표자들은 경영평가 거부투쟁과 관련해 '수위 조절'을 놓고 고민을 토로했다.
경영평가 거부선언을 넘어 현장실사까지 물리력으로 막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 2월 경영평가 거부를 선언한 양대 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대책위원회는 38개 중점관리기관을 중심으로 경영평가단의 현장실사 때 피케팅 등 물리적 거부의사를 밝히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부채관리기관 중 하나인 A기관 노조위원장은 "단위노조에서 경영평가 위원들의 입장을 막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부채관리 대상인 B기관 노조위원장은 "피케팅 정도는 할 수 있다"면서도 "38개 중점관리기관 사이에서도 (대응 수준의) 편차가 있다"고 아쉬워했다.
38개 중점관리 대상이 아닌 C기관 노조위원장은 "전체 공공기관들이 모두 경영평가 실사를 막으면 몰라도 몇몇 단위에서만 막는 것은 어렵다"며 "잘못하다가는 조합원들의 마음을 잃을 수가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결국 공대위는 이날 회의에서 현장실사를 몸으로 막는 물리적 충돌 대신 모든 기관마다 현수막을 거는 쪽으로 경영평가 대응을 일단락하기로 했다. 공대위는 그러나 "공공기관 정상화 이행과 관련한 교섭을 일체 거부한다"는 기존 지침은 재확인했다.
공대위 관계자는 "이달 17일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하는 공공기관장 워크숍을 앞두고 정상화 대책 합의를 종용하는 압력이 심해질 것"이라며 "일체의 교섭을 거부하기로 결의했다"고 말했다.
공공기관노조 대표자들 "정상화 관련 교섭 일체 거부"
3일 1차 현장대표자회의 … 경영평가단 현장실사 거부투쟁은 현수막으로 대신하기로
- 기자명 배혜정
- 입력 2014.04.04 08:00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