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노조의 파업이 장기화하고 대체인력 투입으로 사망사고까지 발생하면서 사회적 대화기구를 구성하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철도산업발전소위를 설치하라는 노동·시민·사회단체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민주노총과 시민·사회단체는 대선 1년을 맞는 19일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17일까지 정부와 국회 대화 응해야”=민주노총은 철도파업 장기화에 따른 사태 해결을 위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책임 있게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16일 오후 서울시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 민영화 사태의 최종적인 책임은 청와대에 있음에도 정부는 탄압으로 일관하고 새누리당은 철도 민영화 사태를 수수방관하고 있다”며 “17일까지 정부와 국회가 대화에 응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철도 민영화 중단을 위해 민주노총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산하 철도산업발전소위 설치와 코레일·철도노조가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새누리당에 제안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면담 요구서를 전달하기 위해 새누리당 당사에 들어가는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하기도 했다.
◇원탁회의·교수학술단체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하라”=1천283개 야당·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수서발 KTX 분할 반대·철도 민영화 반대·철도산업 개방 반대 각계 원탁회의’와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등 4개의 교수학술단체는 철도노조 조합원에 대한 고소·고발·직위해제 철회와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주문했다.
원탁회의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영화에 반대하는 70%의 국민들이 철도파업을 지지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강경탄압을 거두고 국민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탁회의는 “코레일 경영진을 압박해 임시이사회를 강행한 데 이어 1주일 이내 면허발급 계획을 발표하는 등 사태를 악화시키는 국토교통부 장관을 해임하라”고 요구했다.
민교협·교수노조·학술단체협의회·비정규교수노조 등 4개 교수학술단체는 이날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철도노조 탄압을 중단하고 사회적 논의기구를 구성해 원점에서 재논의하라”고 촉구했다.
◇대선 1년 맞는 19일 대규모 집회=민주노총과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와 국회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대선 1년을 맞는 19일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17일까지 정부와 새누리당이 대화에 응하지 않는다면 민주노총은 대선 1년이 되는 19일 철도노동자 상경투쟁과 더불어 모든 사회적 저항세력을 결집시키겠다”며 “전국에서 정부와 새누리당을 규탄하는 투쟁으로 반새누리당 민심을 확인시켜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탁회의는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철도노동자들을 탄압한다면 대통령 선거 1년이 되는 19일 대규모 시국대회를 개최할 것”이라며 “2차 상경투쟁에 나서는 철도노동자들을 지원하고, 불통 정부에 대한 전 국민적 항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