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철도노조의 파업은 정부와 코레일이 수서발 KTX 노선의 분리운영을 무리하게 밀어붙일 때부터 예견됐던 일"이라며 "파업을 대하는 모습을 보니 정부가 문제를 합리적으로 풀 생각이 전혀 없는 것 같아 보인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사회적 갈등은 대화와 타협으로 조정되는 것이지 갈등에 대한 초강경 대응으로 진압되는 것이 아니다"며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해 철도 민영화에 대해 국민적 합의나 동의를 강조한 적이 있는 만큼 정부는 지금이라도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경민 최고위원도 "정부·여당은 지금 종북놀이·제명놀이를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며 "박 대통령은 국민 동의 없는 철도 민영화 반대라고 했던 대선공약을 지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같은 당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불법파업이 아님에도 철도노조 파업에 초강경 대응으로 일관하는 것은 상황을 파국으로 몰아갈 뿐"이라며 "국토교통부와 코레일은 강경대응을 즉각 중단하고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과 대화를 통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반면 철도노조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며 강경대응을 주문했던 새누리당은 수서발 KTX 주식회사 설립 필요성에 대한 정부 논리를 재차 반복했다. 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코레일 수서발 KTX 자회사를 설립한 것은 부채가 17조원에 달해도 독점운영 때문에 개혁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성을 유지하며 경쟁체제를 도입하는 최선의 방안으로 나온 것"이라며 "철도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은 공공기관의 구조조정을 막고 경쟁구도를 피하려는 제 밥그릇 챙기기라는 국민의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