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이 지난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산재사망 처벌강화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행진을 하고 있다. 노동과 세계

민주노총이 4·28 세계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산재사망 발생 기업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 앞에서 500여명의 조합원이 모인 가운데 ‘산재사망 처벌 및 원청 책임강화 투쟁 결의대회’를 열었다. 27일 오후에는 서울 보신각 앞에서 세계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문화제를 개최했다.

민주노총은 결의대회에서 “산재사망은 기업에 의한 살인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하청노동자 산재에 대한 원청 책임을 명확히 하는 것만이 노동자 죽음의 행진을 끝낼 수 있다”며 잇단 산재사망에 대한 기업의 사과와 산재사망 발생 기업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또 산재사망 처벌강화 특별법 제정, 원청사업주 산재책임 강화를 위한 법 개정, 특수고용노동자 산재예방·전면적용을 촉구했다.

양성윤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대회사를 통해 “국회는 산재처벌 강화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라”며 “전경련은 돈을 벌어 배를 불렸으면 그만큼 함께 사는 노동자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전경련 앞 집회가 끝난 뒤 국회를 거쳐 산업은행까지 행진한 뒤 결의대회를 마쳤다.

세계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국제 노동계의 연대 메시지도 잇달아 민주노총에 전해졌다. 프란세스 오그래디 영국노총(TUC) 사무총장은 26일 연대 메시지를 통해 “대림산업 폭발사고로 6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는 소식은 충격적”이라며 “모든 사용자들은 노동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보장할 의무가 있고 안전보건 위반은 적절하게 처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드 커니 호주노총(ACTU) 위원장은 “호주 노동안전보건법에는 노동자 사망을 유발한 사용자를 징역형으로 처벌하는 조항이 있다”며 “산재사망 처벌강화 특별법 도입을 위한 민주노총의 투쟁을 지지하고 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