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위원장 박상철)가 조선업 비정규직 전략조직화 사업을 전개한다. 노조는 12일 "울산과 경남 거제·통영·고성을 비롯한 남해안지역과 목포·영광 등 전남 서남지역의 조선벨트를 연결하는 거점지역에서 하청노동자 전략조직화 사업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조선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불황의 터널을 지나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조선업 하청노동자의 산재은폐와 임금체불, 고용불안 문제가 곳곳에서 불거지고 있다. 그럼에도 노조가 조직된 곳이 드물다 보니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노조는 2000년대 들어 한라중공업·현대중공업 등 주요 조선소에서 하청노동자 조직사업을 펼쳐 왔다. 그러나 조합원이 있는 하청업체는 아예 폐업조치되는 방식으로 원청이 노조활동을 방해해 조직화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지는 못했다. 실제로 대법원은 2010년 3월 노조활동을 이유로 폐업한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가 제기한 부당노동행위구제 재심판정취소 청구소송에서 "현대중공업이 협력업체들의 폐업을 유도함으로써 협력업체 노조의 활동을 위축시키거나 침해하는 부당노동행위를 했다고 인정한 원심 판결은 정당하다"는 확정판결을 내렸다.

대형 조선소의 이같은 횡포에 맞서 노조는 사업장별 조직화가 아닌 지역별 조직화에 주력해 왔다. 2008년 전남 영광·신안·목포·영암을 중심으로 하는 전남서남지역지회가 결성된 것이 대표적이다. 해당 지역에는 현대삼호중공업을 제외하면 중소형·블록 가공공장을 중심으로 조선벨트가 형성돼 있다. 조선노동자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현대미포조선 대불공장은 울산공장과 달리 95%가 하청노동자로 구성돼 있다. 노조는 지역지회에 취부·용접·마킹분회 같은 업종별 분회를 설치해 꾸준히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70여명의 노조원이 지회에 가입해 있다.

이상우 노조 미조직비정규국장은 “전남서남지역지회와 같은 모델로 조선업 하청노동자 전략조직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경남 거제·통영·고성지역 조선소 비정규직 전략조직화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남해안 벨트에는 중소조선소가 밀집해 있다. 하청업체가 다시 재하청을 주는 다단계 하도급 문제가 심각하다. 노조는 거제·통영·고성 조선소 미조직비정규노동자 사업팀을 구성해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