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제 일자리가 급증하면서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 임금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및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현재 정규직은 1천229만5천명으로 4.0%(47만2천명) 늘었고, 비정규직은 594만6천명으로 0.6%(3만4천명) 증가했다. <표 참조>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비정규직 안에서도 더 나쁜 일자리로 빠르게 이동하는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고용형태별 규모를 보면 지난 1년 동안 계약직 등 한시적 일자리는 2만9천개(0.8%) 증가했다. 그런데 시간제 일자리는 이보다 두 배 많은 5만7천개(3.1%)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신 파견·용역·재택·호출근로 등 비전형 노동자가 7만2천명(-3.1%) 줄었다. 연령별로는 30대(-4만5천명)와 40대(-3만9천명)는 줄어든 반면 20대 청년층(1만5천명)과 50대(7만5천명), 60대 이상(4만9천명) 고령층이 크게 늘었다.

질 낮은 시간제 일자리가 급증하고 고령노동자 유입이 늘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월평균 임금격차는 더 벌어졌다. 통계청이 최근 3개월(6~8월) 월평균 임금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만6천원(3.5%) 오른 254만6천원의 월급을 받았지만 비정규직은 3만5천원(2.5%) 인상된 142만8천원에 그쳤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월평균 임금을 단순비교할 경우 111만8천원 차이가 난다. 특히 시간제의 경우 임금인상률이 비정규직 가운데 가장 높은 7.7%(4만7천원)를 기록했음에도 월평균 임금은 65만4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성별과 연령·교육수준·근속기간·직업·산업 등을 동등한 조건으로 놓고 전일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를 분석하면 11.8%나 차이가 난다. 모든 조건이 동등한 경우에도 정규직이 100만원을 받는다면 비정규직은 88만2천원만 받는다는 얘기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격차는 지난해(10.6%)보다 1.2%포인트 증가했다.

정부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를 확산하겠다며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비정규직 일자리의 질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비정규직의 근로복지 수혜율은 퇴직금 39.9%, 상여금 40.2%, 시간외수당 24.9%, 유급휴가 33% 등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시간제의 경우 퇴직금(12.3%)·상여금(17.3%)·시간외수당(8.8%)·유급휴일(9.1%) 수혜율이 10% 안팎에 그쳤다. 비정규직의 노조 가입률은 0.1%포인트 오르긴 했지만 아직도 3%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