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과 세계 변백선 기자

민주노총이 박근혜 정권 퇴진투쟁을 선언한 가운데 세대·정파를 아우르는 총파업 조직사업이 이어지고 있다.

5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8일 오후 서울 정동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전현직 중앙집행위원들의 간담회가 예정돼 있다. 이날 간담회는 권영길 초대 민주노총 위원장과 남상헌 지도위원 등 이달 2일부터 민주노총 건물 로비에서 단식농성을 시작한 10명의 지도위원단이 소집했다.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는 중앙 임원과 실장급 간부, 산별·지역본부 대표자 50여명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현직 중집위원 간담회에는 민주노총 출신 원로급 활동가들은 물론이고 다양한 정파의 활동가들까지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9·16일과 다음달 25일로 예정된 민주노총 총파업 조직화 방안과 내부통합·혁신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철도노조 파업과 지난달 경찰의 민주노총 난입사태를 계기로 모처럼 세대와 정파를 초월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정호희 대변인은 “전직 중집위원들 중에는 노동운동을 계속하는 이들도 있고, 각기 다른 노선의 정치권으로 진출한 이들도 있다”며 “차이를 극복하고 내부와 외부에서 함께 힘을 모으자는 뜻에서 간담회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움직임은 단지 원로들의 단식농성이나 전현직 중집위원들에 한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실제 경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노조활동을 그만두거나 정년퇴임을 앞둔 선배 조합원들까지 집회에 참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이 잇따라 총파업을 예고하고 나섰지만 실제 총파업에 걸맞은 투쟁동력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금속노조 현대·기아차지부 등이 민주노총 지침 하나로 공장가동을 멈추고 거리로 나왔던 10여년 전의 상황이 재현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민주노총 관계자들도 현실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경찰의 민주노총 난입사태를 겪으면서 현장 분위기가 예전과 사뭇 다르다는 것이 민주노총 중앙과 산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경찰 난입사태 뒤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는 현장의 분위기가 느껴진다”며 “민주노총이 갑자기 살아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뿌리 깊었던 민주노총에 대한 실망감은 점차 사라지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3일 서울역광장에서 단위노조 대표자·대의원 총파업 결의대회를 연 데 이어 4일에는 서울광장에서 전국동시다발 총파업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3일 대회에 참석한 단병호 전 위원장은 신승철 위원장에게 투쟁머리띠를 묶어 준 뒤 “박근혜 정권 1년간 내재된 분노가 높고 그 잠재력이 크다”며 “자신감을 갖고 조직화에 나서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7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다음달 25일 국민총파업까지 구체적인 투쟁계획을 확정한다. 2차 총파업이 예정된 9일까지 단위 사업장·지역별로 시국대회를 연다.

민주노총 최대 사업장인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7일 확대운영위원회를 열어 총파업 참가 계획을 논의한다. 잔업·특근 거부나 부분파업 등 어떤 형태로든 단체행동을 벌이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부 관계자는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도 “민주노총의 지침이 내려온 이상 다른 방안이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김학태 기자 / 윤성희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