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 자료사진

“민주노총 30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정책 페스티벌을 열겠다(기호 1번 양경수 후보조)” “여성·이주노동자·장애인 영역별 파업, 기후위기·최저임금을 내건 의제별 파업을 조직하겠다(기호 2번 박희은 후보조)”

다음달 21일 치르는 민주노총 임원선거에 기호 1번 양경수·이태환·고미경(위원장-수석부위원장-사무총장 동반출마) 후보조, 기호 2번 박희은·이영주 후보조의 공약이 일부 공개됐다. 2일 양 후보 선본은 향후 민주노총 30년을 위한 전략수립을 내년 동안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박 후보 선본은 3년간 체제전환 민중 총파업을 위한 시기별 투쟁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양 후보 참여예산·정책 페스티벌 등 강조
박 후보 계층·차이 아우르는 사회의제 대비

양 후보 선본은 내년 3~4월 새로운 30년 위원회를 설치하고 사업을 기획해 5월 120만 조합원이 직접 졀정하는 5대 핵심 의제를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6~9월 현장의 의제별 분과와 자문단을 구성한 토론을 진행하고, 10~11월에는 새로운 30년! 500인 심의위원회를 열고 현장 토론 결과를 종합해 정책 페스티벌을 열고 새로운 30년 전략안을 수립한다는 시간표다.

또 양 후보 선본은 조합원 1억 참여예산제를 도입해 조합원이 참여하는 예산 제안 사업을 공모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집회 문화를 혁신하는 계획도 포함했다. 100인 조합원 집회 기획단을 통해 내년도 전국노동자대회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박 후보 선본은 3년 계획을 수립했다. 우선 내년에는 22대 국회를 겨냥한 입법 투쟁을 전개해 모든 노동자의 노동법을 달성한다. 이후 체제전환 전략 특위를 설치해 모든 진보민중세력이 참여한 가운데 운영하고, 비정규직·여성·이주노동자·장애인 같은 영역별 파업을 조직한다. 최저임금과 기후위기 등도 영역별로 포함해 파업을 조직한다.

박 후보 선본은 또 노조조직률과 단협 적용률을 동시에 확대할 수 있도록 단체협약·지역협약 효력확장을 강조했다. 녹색 노조운동, 임금 삭감 없는 주 35시간 노동제 같은 요구도 전면화하고 이주노동자 고용허가제 철폐도 민주노총 차원의 핵심 요구로 제시했다.

정치세력화 최대 쟁점
“총선 뒤 연합정당” “반성 통한 열린 논의”

두 선본은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두고 이견을 드러냈다. 올해 민주노총 대의원대회에서 정한 정치·총선방침을 기반으로 향후 선거 대응이 화두다.

양 후보 선본은 노동중심 진보연합정당 건설을 강조했다. 4월 총선을 공동대응한 뒤 당내당 방식의 연합정당 구축에 나서자는 안이다.

박 후보 선본은 ‘노동자 정치’ 재구성을 강조했다. 패권을 앞세우지 않고 존중을 통해 올해의 관련 논의를 반성적으로 바라보면서 열린 논의를 하자는 게 뼈대다.

이 밖에 두 선본은 조합원 200만 시대나 민주노총 내부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자는 데는 공감대를 이뤘다. 다만 양 후보는 참여예산제 같은 조합원 참여를 강조했고, 박 후보는 ‘동네방네 구석구석 민주노총’ 같은 구호로 기존의 노동법 밖의 노동자 포괄을 강조해 대비된다. 양 후보 선본은 또 대국민 여론홍보 전담부서 설치와 청년대변인제 같은 소통안을 마련한 반면 박 후보 선본은 임금삭감 없는 주 35시간 노동제와 ‘녹색’노조운동 같은 사회적 의제 참여를 강조하는 모양새다.

두 후보는 이런 공약 등을 들고 합동 유세와 언론사 초청 토론회로 조합원을 만난다. 7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첫 언론사 초청 합동토론회를 연다. 열흘 뒤인 17일 오전 같은 장소에서 두 번째 토론회를 진행한다. 권역별 합동 유세는 △8일 충청권(민주노총 대전본부) △9일 부산·울산·경남권(민주노총 경남본부) △13일 제주권(민주노총 제주본부) △14일 호남권(민주노총 광주본부) △15일 강원권(민주노총 강원본부) △16일 대구·경북권(민주노총 대구본부) △17일 수도권(민주노총 서울본부)에서 진행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