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자들의 실질임금 인상률이 매년 0%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금 오르는 속도가 경제성장이나 물가인상 속도에 한참 못 미친다는 얘기다.

민주노총은 3일 정액급여 기준 월 23만원을 올해 임금인상 하한선으로 제시했다. 경제성장률과 물가인상률을 감안할 때 최소한 23만원은 올라야 노동자와 그 가족이 기본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민주노총이 고용노동부와 통계청·한국은행의 임금 관련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5인 이상 사업체 상용직의 명목임금 인상률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웃돈 경우는 2012년뿐이었다. 같은 기간 1인 이상 임금노동자와 피용자 1인당 보수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앞지른 경우는 아예 없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위기가 시작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임금노동자 실질임금 인상률은 0.8%에 그쳤다. 한국은행 국민계정 피용자 보수총액을 통계청 전체 임금노동자수로 나눈 피용자 1인 보수는 겨우 0.1% 올랐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금융위기에 대한 대응이 이뤄졌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국민소득 중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노동소득분배율은 외환위기 이전인 96년 62.6%에서 지난해 61.4%로 1.2%포인트 떨어졌다. 취업자 대비 노동자 비율을 고려한 조정노동소득분배율은 같은 기간 14.3%포인트 급락했다.

그 결과 임금노동자 4명 중 1명은 저임금 계층으로 전락했다. 전일제 노동자 중위임금의 3분의 2 이하를 받는 저임금 노동자 비중은 지난해 기준 전체 노동자 1천878만명 가운데 453만명(24.1%)을 차지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