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이른바 '정부 3.0 정신'에 따라 추진하겠다고 밝힌 공공부문 정상화 대책이 정부 3.0 혁신 취지와 무관한 공공기관 노조 때리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철 공공운수정책연구원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위원은 27일 발표한 이슈페이퍼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확대방안 비판: 정부 3.0 혁신을 중심으로'에서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에 포함된 정보공개 확대방안의 의도가 정부 3.0이 달성하려는 취지와는 달리 공공기관노조 통제에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 3.0은 공공정보를 개방·공유하면서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소통·협력함으로써 국정과제에 대한 추진동력을 확보하며,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을 뜻한다. 즉 정부가 갖고 있는 공공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해 국민과 공유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맞춰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도 개편됐다.

그렇다면 공공부문 정상화 대책은 이 같은 '정부 3.0 정신'대로 추진되고 있을까. 김철 연구위원은 "정부 방안에는 방만경영 개선과 관련한 내용만 보일 뿐 정작 정부 3.0을 표상하는 정보공개 확대에 관한 사항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알리오 등을 통해 공개돼야 하는 공공기관 정보는 크게 △공공기관 임원 인사에 관한 정보 △공공기관 주요 재정 관련 문서 원본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대형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및 근거자료다. 하지만 현재 개편된 알리오에서는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 논란과 관련한 정보를 찾아볼 수 없다. 예산·결산·사업계획서도 원본이 아닌 요약본만 볼 수 있다.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대형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와 근거자료는 여전히 비공개로 묶여 있다.

반면 공공기관 노사 단체협약의 별도합의 사항을 미등록하거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실공시 등은 집중점검 대상이다. 정부는 공공기관으로 하여금 이달 말까지 이면합의를 자진공시하도록 했다. 상반기 중 이를 감사해 미이행 사실이 적발되면 기관장을 문책할 방침이다.

김 연구위원은 "정보공개 확대는 핑계일 뿐 실제로는 공공기관 단체협약을 개악하고 무력화하는 데 초점을 둔 공공기관 노조 때리기, 공공기관 노사관계에 대한 불법개입"이라며 "공공기관 혁신이 아니라 구태를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