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비정규 노동자들이 정부와 보수언론의 급식대란 우려와 "아이들 밥을 무기로 한 이기주의"라는 비난에도 대규모 총파업을 성사시키자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1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조리사·영양사·사서·행정·영어전문강사 등의 이름으로 학교 현장에서 일하는 비정규직은 15만명에 이른다. 현재 학교비정규직을 대표하는 전국 단위 노조는 학교비정규직노조·공공운수노조 전회련본부·여성노조 등 3곳이다. 서울일반노조는 서울지역 학교의 급식노동자와 행정업무를 보조하는 옛 육성회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조직화돼 있다. 이들 노조의 조합원은 이달 초를 기준으로 4만여명에 이른다. 학교비정규직의 25% 이상이 노조로 조직돼 있는 것이다.

학교비정규직의 노조 조직률은 최근 2년간 급상승했다. 계기는 지난 2010년 6월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진보교육감이 탄생하면서부터다. 광주·전남학교비정규직노조는 당시 교육감 선거에 적극 참여해 장휘국 광주시교육감과 장만채 전남교육감을 당선시키는 데 기여했다. 당선 이후 이들 진보교육감은 학교비정규직의 처우를 개선하고, 일부 직종에서는 교육감 직접고용을 하기도 했다. 이 같은 성과를 토대로 학교비정규직노조(위원장 박금자)가 지난해 5월 출범했다.

공공운수노조 전회련본부(본부장 이태의)도 지난해 교육청을 상대로 학교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을 위한 소송을 벌이면서 조합원을 급격히 확대했다. 급식실 노동자를 중심으로 조직된 여성노조(위원장 황영미)는 2002년부터 학교비정규직 조직화에 앞장서 왔다.

학교비정규직은 '학교'라는 비슷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조합원 서로에 대한 이해가 높다. 학교비정규직의 60%를 차지하는 급식실 노동자들의 경우 생산직처럼 집단근로를 하는 탓에 단결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 십수 년간 누적된 불만이 총파업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연대회의 관계자들은 "학교비정규직은 전국적으로 흩어져 있지만 처우개선과 고용불안이라는 공통되고 누적된 모순을 겪어 왔다"며 "정부를 상대로 한 이후 투쟁에 대한 각오도 높다"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