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20일 실시된 쌍용차 정리해고 관련 청문회에서는 그동안 논란이 됐던 회계조작에 대한 논란이 재연됐다.

논란은 이렇다. 쌍용차는 대주주인 상하이차가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2009년 2월 기업회생절차가 개시됐다. 회생절차에 따라 그해 2월20일 재무제표를 확정하고, 안진회계법인이 감사보고서를 냈다. 그해 3월31일 삼정KPMG는 쌍용자동차 경영정상화 보고서를 이 안진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를 근거로 작성한다. 2천646명의 인력구조조정 방안이 담긴 내용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유형자산 평가액이 다른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2008년 9월에 1조3천억원대로 평가됐던 유형자산이 2009년에는 8천600억원대로 평가된 것이다. 토지나 건물 같은 유형자산의 손상차손이 5천176억원에 달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187%였던 부채비율은 561%로 뛰어 올랐다. 물론 이 수치는 정리해고의 근거로 쓰였다.

은수미 민주통합당 의원은 이를 “기획부도로 인한 회계조작”이라고 표현했다. “2007년에 유럽시장에 진출하겠다고 광고까지 하던 신차를 포기하면서 2천억원의 손해를 본 것을 비롯해 몇 개월 사이에 자산 가치가 이렇게 바뀌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법정관리인은 삼정의 보고서를 파산법원에 제출했다. 당시 서울중앙지법 파산수석부장판사로 최근 대법관이 된 고영한 대법관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법정관리를 맡으면서도 자산평가가 오락가락했기 때문에 신경을 많이 썼다”며 “그 부분에서 근로자들의 소리를 배려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사과했다.

또 다른 정리해고 근거로 댔던 유동성 문제 역시 야당 의원들의 집중 타격 대상이 됐다. 쌍용차의 유동성 문제는 상하이차의 법정관리신청과 철수 원인으로도 지목됐는데 이 주장의 근거가 무너졌다. 이날 이유일 쌍용차 대표이사는 상하이차 철수에 대해 “자금 부족으로 인해 철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심상정 무소속 의원은 이날 2009년 1월20일자 우리나라와 중국 관료의 면담 내용을 담은 외교통상부의 비공개 문서를 공개하면서 반박했다. 문서에 따르면 중국 관료는 상하이차의 철수 이유로 노조와 한국정부의 비협조, 기술유출 관련 검찰 강압수사, 금융기관 무관심을 들었다. 우리 외교부 관료는 “상하이차가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은 경제적 이유가 아니다”고 명시했다. 심상정 의원은 “상하이차는 중국 굴지의 ‘공기업’으로 상하이차 회장은 장관급의 대우를 받는 사람”이라며 “회장의 의지만 있으면 자금 동원이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쌍용차 사태는 기술 유출 등 쌍용차로부터 빼 먹을 것은 거의 빼 먹은 상황에서 기술유출 관련해서 한중 정부가 외교 갈등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김경협 민주통합당 의원도 이날 삼정이 구조조정 근거로 제시했던 2006년 하버리포트의 쌍용차 생산성지수(HPV)가 조작됐다고 거들었다. 차량 1대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시간을 뜻하는 HPV가 높다는 근거로 정리해고 인원을 산출했는데 삼정이 제시한 2006년 하버리포트에 쌍용차 평가 자체가 없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새누리당에서도 정리해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종훈 새누리당 의원은 “구조조정은 숫자놀음이 아니다”고 일갈했다. 그는 구조조정 계획을 작성한 삼정에 대해 “구조조정 인원을 현인원에서 필요인원을 빼 산출했을 게 뻔하다”며 “한 대 생산하는 데 몇 명이 필요한지를 뜻하는 고용계수를 쌍용차에서 받아서 계산하는 게 맞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구조조정할 때 교대제 개편 옵션을 택하면 이렇게 줄일 수 있다, 순환보직을 하면 얼마로 할 수 있다, 이렇게 대안을 마련해야지 2천646명을 지정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