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비정규 관련법안의 시행을 앞두고 완성차 업계의 사무계약직 대책이 두 갈래로 나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사무계약직과 관련해 '우리은행식 분리직군제' 도입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같은 그룹회사인 기아자동차는 정규직 전환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4일 두 기업 노사에 따르면 현대차는 시무계약직 350명을 분리직군제 방식을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현재 노사협의회가 진행에서 논의되고 있다. 반면에 기아차는 노사 용안정위원회에서 사무계약직 11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에서 추진하고 있는 분리직군제는 비정규 노동자의 고용형태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되, 기존 정규직과 임금·승진체계를 달리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현재 5급까지로 나눠진 사무직급을 6급으로 확대하고, 기존의 사무계약직을 6급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에 있는 350명의 사무계약직을 정규직화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비정규법안 시행에 앞서 시행하기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아차에서는 정규직화 의견이 우세하다. 기아차 노사는 2~3년전부터 단체협약을 통해 근무연한이 만 5년에 달한 사무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아차의 논의요청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노사 고용안정위원회에서도 이 같은 방침이 유지되고 있다. 현재 기아차에는 5년차 30명, 4년차 40명, 3년차 20명 등 110명의 사무계약직이 있다. 금속노조 기아차지부 관계자는 "사무계약직의 정규직화를 방침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노사 간에 사무계약직의 정규직화에는 큰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에 비해 사무계약직이 많지 않은 GM대우차와 쌍용차에서는 아직 별도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GM대우차 관계자는 "운전기사와 비서 등 파견직 38명과 통역사·간호사·경비 등 계약직 46명이 일하고 있다"며 "대부분 비정규 관련법안에는 저촉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쌍용차 관계자도 "비정규직 보호법안에 저촉되는 범위가 많지 않다"며 "현재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6월 15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