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나, 더욱이 진정한 '지식인'은 본질적으로 '자유인'인 까닭에 자기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 결정에 대해 '책임'이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존재하는 '사회'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 이 이념에 따라, 나는 언제나 내 앞에 던져진 현실 상황을 묵인하거나 회피하거나 또는 상황과의 관계설정을 기권으로 얼버무리는 태도를 '지식인'의 배신으로 경멸하고 경계했다. 사회에 대한 배신일 뿐 아니라 그에 앞서 자신에 대한 배신이라고 여겨왔다."

리영희(76) 전 한양대 교수의 인생 회고록 '대화'(한길사)가 나왔다.
   
'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야만의 시대를 살았던 지식인의 고뇌하는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는 한국 현대사의 질곡 앞에서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권리를 위해 싸우는 고결한 정신의 소유자들을 돕기 위해서 많은 글을 쓰고 발언을 한" 대가로 "지배의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잔인한 자들"에 의해 '의식화의 원흉'으로 낙인찍혀 아홉 번이나 연행되어 다섯 차례 구치소에 갔고, 세 번이나 재판을 받아 무려 1천12일에 이르는 세월 옥고를 치렀다. 그리고 언론계에서 두 차례, 대학에서 두 차례 쫓겨났다.
   
지식인의 의무를 회피하지 않고 진실을 있는 그대로 말하고 글로 옮기며 지식인의 역할을 온몸으로 실천했기 때문이다.
   
지식인으로서 그의 활동 시기는 한국 현대사와 일치한다. 책에는 해방 후 미군정기 남한사회의 혼탁상에서 6·25전쟁의 비극과 한국군의 실상, 4·19, 5·16, 광주민주화운동, 그리고 최근의 국내외 정세에 이르기까지 개인사의 기록을 넘어 한국 현대사의 단면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져 있다.
   
시대와의 불화속에 평범한 인간으로서 부딪혀야 했던 갈등과 번민, 고통의 순간들을 숨김없이 솔직하게 드러낸 점은 이 책의 미덕이다.
   
반공법 위반으로 구석되는 바람에 돌아가신 어머니의 상에도 참석하지 못하고 형무소에서 나온 밥과 사과 한 알을 놓고 제사를 지내는 장면이나 재판을 앞두고 아내에게 보낸 편지는 극단적 시대상황에서 한 인간이 감당해야 했던 고뇌의 무게를 짐작케 한다.

그는 2000년 말 느닷없이 찾아온 뇌출혈이라는 손님을 맞고 쓰러졌다. 70세를 넘기려는 순간이었다. 뇌중추신경 타격(중풍)으로 신체의 우(右)반신이 마비되고, 사고도 혼미해지고 언어의 장애를 겪었다. 그는 자신의 의지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지적 활동과 글 쓰는 일은 영원히 끝났다고 생각했다. 운명의 선고로 알고 체념하면서 순순히 승복했다.
   
하지만 4년이 지나는 사이에 신체와 정신의 마비가 서서히 그러나 착실하게 회복되어 갔다. 여전히 글이라면 엽서 한 장의 짦은 글을 힘겹게 쓰는 것이 고작이지만 이제는 구술(口述)로 하는 저술은 웬만큼 가능해졌다.
   
이 책은 오른손의 마비로 저술이 힘든 상황에서 민족문제연구소장 임헌영 씨가 질문자 겸 대담자로 나서 나눈 대화 내용을 녹취해 다듬고 고치며, 기록을 정리하는 2년간의 지루한 작업끝에 어렵게 태어났다.
   
그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부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함께 고민하고 자신이 그 상황에 직면했거나 처했다면 '지식인'으로서 어떻게 가치판단을 하고 어떻게 행동했을까를 생각해 보기를. 그럼으로써 이 자서전의 당사자와 대담자가 책 속에서 진행한 것과 같은 자기비판적 대화의 기회로 삼기를. 그리고 기회가 있으면 나와의 비판적 대화도 가질 수 있기를." 748쪽· 2만2천원.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shg@yna.co.kr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