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소득이 낮은 하위 20% 계층은 매월 8만5900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도시근로자 가구의 실질소득도 외환위기 전인 96년 수준에도 못미치고 있다.

아울러 2·4분기 계층간 소득격차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확대된것으로 나타나 소득불균형 문제는 정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되고 있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4분기 도시근로자가구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33만1000원으로 작년 2·4분기보다10.9% 증가했다.

소비지출은 154만2000원으로 11% 증가했다. 인플레이션 효과를 뺀 실질소득은 국제통화기금(IMF) 체제에 들어가기 이전인 97년 2·4분기 203만1000원의 95.5% 수준이며 96년 2·4분기의 194만8000원에도 못미치는 수치다.

거시지표상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실제 근로자 가구가 느끼는 체감 경기는 여전히 외환위기 이전 수준에 못미치고 있는 셈이다.

소득 불평등 정도도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악화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불균형 정도가 높음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4분기 0.317로 작년 동기의 0.311보다 높아졌다.

소득수준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소득보다 5.28배로 작년동기의 5.24보다 높아 계층간 소득불균형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소득 기준으로 하위 20% 계층은 가처분소득이 79만8000원에 소비지출은 88만4000원으로 가계수지가 매월 8만6000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상위 20%계층이 매월 149만원의 흑자를 기록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최상위계층과 최하위계층간의 격차는 아직도 상당한 수준이다. 이에따라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의 과실이 도시근로자 상위층과 일부 자영업자 등에 집중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