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1일 예정된 연맹 선거를 앞두고 '현장'은 어떤 문제에 대한 해답을 기대하고 있을까. 연맹 내 단위노조 간부들은 거창한 선언적 '구호'보다 조직의 문제를 풀기 위해 무엇보다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는 주문이다.
우선 오래 전부터 제기돼 온 문제이긴 하나 '현장과 동떨어진 연맹'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집중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은 분위기다. 공공시설환경분과 한 노조 위원장은 "현장을 이해하지 못한 사업이 추진되면서 연맹과 현장의 간극이 더욱 벌어지고 있다"며 "의견수렴조차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게 연맹의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과기노조 한 지부 위원장도 "연맹을 보면 물이 오래 고여있어 썩어가고 있는 느낌"이라며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들은 다양한 업종, 10만 조합원, 정부의 구조조정, 단위노조 간부의 소극성 등 현실적 문제가 중첩된 여건을 이해하지만 연맹이 '현장의 목소리'를 담으려는 노력을 소홀히 했다고 꼬집는다. 경제사회복지분과 한 노조 위원장은 "중앙위원회, 중집과 다른 성격의 '의견수렴 기구'를 만들어 쑥덕공론이 아닌 공개된 토론이 일상화 돼야 한다"며 "지금은 작은 변화와 노력이 소중한 때"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대기업노조의 '무관심' 등 연맹과의 관계문제는 드러내 놓고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주문도 있다. 환경에너지분과 한 노조 위원장은 "대형 노조의 상황을 볼 때, 연맹과의 갈등을 인정해야 답을 찾을 수 있다"며 "눈치보지 말고 공론화를 통해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포기하지 않고 변화의 때를 기다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산별노조, 국가기간산업 사유화 저지 투쟁, '4·2 사태'에 대한 의견들도 제시됐다.
환경분과 한 위원장은 "산별노조 건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산별노조인가'라는 문제"라며 "새 위원장은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기 보다 '10만 조합원 산별노조 알기' 등 호흡을 천천히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문기술분과 한 간부는 "내년 국회에서 가스, 발전 등 사유화가 예정돼 있다. 그들만의 싸움이 아닌 전체 투쟁을 실현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할지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4·2 사태'에 대해서도 '사람'을 공격하기 보다 사안의 본질을 파악, 공정히 평가를 해야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소연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