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서 받을 것을 다 받으려고 하는 것은 공부는 하지 않고 A학점을 받으려 하는 대학생과 다를 바 없다”

지난 24~27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전경련과 중소기협중앙회 공동주최로 열린 최고경영자 하계포럼에서는 주5일 근무제 도입과 관련한 재계의 불만이 터져 나왔다.

특히 노사정위원회의 주5일 근무제 협상이 결렬된 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인 탓인지 협상결렬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포럼장의 대세를 이뤘다.

전경련 손병두(孫炳斗) 부회장은 “정부와 노동계가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사안을 밀어붙이기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휴일수가 많아지면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논리대로라면 매일 노는 거지들이 삶의 질이 가장 높은 것 아니냐”고 비꼬았다.

김영수 중소기협중앙회장도 ‘주5일 근무제 도입 불가론’에 무게를 실었다. 김회장은 “주5일 근무제는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 수준은 돼야 한다”며 “더 일을 해야 할 시기에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얘기하는 것은 ‘정신나간 짓’”이라고 밝혔다.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는 등 기업, 특히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은 이해할 만하다. 충분한 사전준비 없는 주5일 근무제 도입은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는 재계의 주장이 외면돼서도 안될 것이다.

그러나 주5일 근무제 협상결렬 책임을 정부와 노동계에 미루는 재계는 과연 협상타결을 위해 최선을 다했는가. 노사정 협상 테이블에 앉은 뒤 ‘휴일 수 조정’ ‘임금보전’ 등 쟁점 현안을 놓고 한치도 밀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집한 것은 재계도 마찬가지였다.

그런 측면에서 재계도 협상결렬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재계에 ‘남을 탓하기 앞서 내 허물을 먼저 보라’는 논어의 한 구절을 곱씹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