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의 환경·사회·지배구조(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ESG) 경영 활성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공공기관의 ESG 경영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ESG 관련 지표를 경영평가 지표에 명시했다. 올해에는 기후위기 대응(E), 사회적 책임(S), 윤리·인권·소통 경영(G)을 핵심 성과지표로 선정·평가할 계획이다. 산하 공공기관은 이런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경기도와 경상북도를 비롯해 13개 광역자치단체가 ESG 경영 지원 조례를 15건, 부천시 등 34개 기초자치단체가 34건의 해당 조례를 제정했다.<그래프 참조>

연구원은 지난해 10월6~23일 경기도 공공기관 28곳을 대상으로 ESG 경영 현황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100점 만점에서 가산점을 합산해 환산시 S(121.8점)에 비해 E(66.2점)와 G(76점)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환경과 거버넌스 분야의 상대적 중요성이 낮게 인식되는 것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 ESG 경영 전담조직이 없는 기관이 15곳으로, 있다는 기관(13곳)보다 많았다. 조직 규모가 작고 인력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었다. 절반인 14개 기관은 ESG 경영 비전과 전략체계 수립을 하지 못했다.

연구원은 경기도 공공기관의 ESG 경영 활성화 방안으로 △ESG 중 특정 부문에 특화된 우수성과로도 인센티브를 부여받는 기회 제공 △기존 경기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서 ESG 경영 관련 지표의 선정·보완 △경기도 공공기관별 ESG 경영정보 공시제도 수립·활용 △ESG 경영 관련 평가지표의 장기적 연속성 유지를 통한 신뢰도 제고 등을 제시했다.

김태형 연구위원은 “경기도만의 특화된 ESG 경영 고도화 방안을 장기적 관점에서 수립해 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는 우수사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