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악화된 경제 여건이 올해 가장 중요한 청년 의제가 될 것이란 조사가 나왔다.

청년재단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해 12월6일부터 14일간 전국 19~39세 3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가장 중요한 올해 이슈로 청년 경제생활 악화(41.2%)가 꼽혔다고 19일 밝혔다. 이어 청년 주거 불안(23.1%), 사회진출 지연 청년의 재도전(21.9%), 세대 간 인식 격차 해소(7.8%)를 꼽았다.

청년정책 관심도 이런 인식을 벗어나지 않았다. 주요 관심 정책분야(복수응답)로 일자리(69.5%)을 선택한 청년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주거(66.7%), 복지(52.7%), 금융(47.8%) 순이다. 정부가 지원해야 하는 청년 유형으로는 자립준비 청년(33.2%)이 가장 많았고 가족돌봄 청년(23.5%), 금융취약 청년(11.5%), 고립 청년(11%), 구직단념 청년(8.5%), 장애 청년(7%), 경계선 지능 청년(4%) 이주 배경 청년(0.6%)로 나타났다.

청년정책 방향도 ‘청년의 자립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49.6%)’는 의견이 많았다.

이런 결과는 지난해 청년 이슈와 대비된다. 응답자들은 지난해 가장 중요한 청년의제로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25.1%)를 꼽았다. 청년 주거 불안(24.9%), 청년 부채 증가(23%) 순이다. 청년의 나이와 유형별로 답변이 상이했다. 30세 미만과 대학생·사회진입 준비생은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를 가장 중요하게 봤지만, 30~34세 직장인은 청년 주거 불안을 35~3세와 신혼부부는 청년 부채 증가를 가장 중요한 의제로 봤다.

그룹별로 살펴보면 대학생은 진로 불확실성 및 불안감으로 인한 졸업유예(53.7%)를 중요했던 의제로 꼽았고 사회진입 준비생은 니트족 증가(36.6%)를, 직장인은 저임금 및 고용불안(36.6%)을, 신혼부부는 전세사기 피해 및 우려 증가(30.4%)를 꼽았다.

청년이 생각하는 청년의 범주는 제도보다 좁았다. 만 39세까지 청년으로 보고 지원하는 제도도 있지만 응답자들은 청년 최소 나이는 19.9세로, 최대 나이는 35.8세로 인식했다.

미래에 대한 기대감은 크지 않았다. 응답자들은 지난해 청년으로서의 만족도(10점 만점)는 4~5점(33.4)이라고 응답했고, 올해도 ‘현재와 비슷할 것’(60.3%)이라고 인식했다.

청년재단은 “다수 청년정책 제공에도 전국 단위 청년정책 체감효과는 미미해 청년정책 전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며 “안정적 자립 지원으로 청년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사각지대 없이 모든 청년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