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제주지역 사회적 고립 청년 절반(51.6%)이 일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냥 쉬었거나(29%) 육아·가사(21%) 또는 취업준비(19.4%) 등을 했다. 고립 극복을 위해 다양한 사회연결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립·은둔 3년 이상 19.3%

13일 일하는시민연구소·유니온센터는 지난해 8~11월 제주지역 사회적 고립 청년 850명 대상 조사와 135명 대상 심층설문, 20명 대상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중앙과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적 함의를 찾기 위해 제주지역을 조사했다. 연구진이 지난해 제주도의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 기본계획 방안연구를 맡아 진행한 결과를 요약한 내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사회적 고립 청년은 지난해 기준 54만명 내외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제주지역 사회적 고립 청년은 7천744명으로 추산한다. 고립청년과 은둔청년을 나눠 구분하는데 각각 3천683명, 4천61명이다. 고립감을 느끼지만 사회로 복귀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고립’으로, 고립이 길어지며 사회와 완전히 단절되면 ‘은둔’으로 분류한다.

조사 결과 제주지역 사회적 고립·은둔 청년은 절반 이상이 일 경험이 없었고, 17%는 정서적 지지를 하거나 도움을 받을 사람도 없다고 응답했다. 고립·은둔 기간은 6개월 이상이 54.1%로 가장 많았지만 3년 이상 장기 고립·은둔도 19.3%에 달했다. 이들의 자아존중감(100점 만점)은 58.3점, 삶의 만족도(10점 만점)는 5.2점으로 절반 수준이다. 이들 10명 중 5명은 외로움(52.6%)과 소외감(48.1%)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7년째 사회적 고립을 겪고 있는 30대 남성은 두 차례나 자살 시도를 했다고 고백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면서 3년째 고립을 겪고 있는 또 다른 30대 남성은 “그때(공무원 시험 준비 기간)부터 조금씩 정신이 갉아 먹혔다”며 “그걸 못 채우니까 압박감이 컸다”고 토로했다. 그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동안은 달랐다”며 “사회의 구성원이 된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교육훈련, 취업 진로상담 등 지지체계 필요

연구진은 청년의 고립·은둔 문제에 맞춘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당사자들은 교육훈련부터 취업 진로상담, 생계와 복지 등 일상의 다양한 지지체계를 필요로 한다”며 “사회적 고립 청년의 생애과정과 삶 속에서 어떤 맥락을 이해해야 할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미 지난해 사회적 고립 청년 제도 개선을 정부에 권고했다. 지난해 9월 인권위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사회적 고립 청년의 개념 △지원 대상의 기준 △지원 기관 및 전문인력 △지원 사업 내용 △관련 연구조사 △정보 수집 및 데이터 관리를 법률에 규정하라고 권고했다.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복지부는 관련 대책을 발표했고 광역과 기초 지자체는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조례 168개, 은둔 또는 은둔형 외톨이 지원조례 38개를 제정했다.

그러나 실제 운용은 미흡하다는 평가다. 연구진은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 실태조사조차 부재한 상황”이라며 “기초적 실태조사와 함께 생태계 기반 조성, 중앙정부 연계사업을 준비하고 저활력 청년이라는 사회적 고립 청년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정책 연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