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노동뉴스 자료사진
매일노동뉴스 자료사진

새해 들어 발표된 고용지표를 둘러싼 해석이 분분하다. 개별지표 변화에 대한 동인은 가닥을 잡고 있지만 종합적으로 국내 노동시장이 어떻게 이행되고 있는지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18일 <매일노동뉴스>는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과 3일 기준으로 갱신된 지역별 고용조사의 ‘산업별 취업자(성·시도·연령별)’ 지표,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을 살펴봤다. 30대 여성 고용 증가를 비롯해 △40대 남성 고용 감소 △단순노무직 12만명 감소 등 뚜렷한 지표 변화가 확인됐다.

여성 고용 늘었지만 ‘돌봄’ ‘서비스’ 갇혔나

여성 고용동향부터 살펴보면 지난해 여성 고용은 2022년과 비교해 30만3천명 늘었다. 같은 시기 남성 고용이 2만4천명 증가한 것과 크게 대비된다. 표면적으로 여성 고용률 증가를 이끈 것은 60세 이상 고령층이다. 2022년과 비교해 20만5천명 늘었다. 증가분에서 3분의 1을 차지한다.

두 번째는 30대다. 30~39세 여성에서 9만2천명이 증가했다. 30대는 전통적으로 결혼과 육아로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주된 나이대로 지목돼 왔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인구구조 변화를 주목한다. 윤정혜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분석팀 전임연구원은 “여성의 노동공급이 늘어남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만혼과 무자녀 영향이 노동시장에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전임연구원의 지난해 11월 분석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기준 30대 후반 기혼 여성 취업자 가운데 18세 미만 동거 자녀가 있는 취업자 비중은 76.8%로 5년 전과 비교해 5.2%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이들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 지난해 통계청의 성·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여전히 여성 고용이 가장 많은 분야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으로, 234만8천명이다. 2022년과 비교해도 11만9천명 늘었다. 도매 및 소매업(158만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138만4천명), 제조업(129만1천명), 교육 서비스업(126만6천명)이 뒤를 이었다. 나머지 직종에서는 모두 60만명 미만 증가를 보였다. 증가율을 보면 그나마 약간의 차이가 드러난다. 여전히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만9천명 증가)을 비롯한 100만명 이상 고용 산업군이 강세지만, 60만명 미만 고용 산업군 가운데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만8천명 △정보통신업 2만4천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2만2천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만2천명이 증가율 면에서는 눈에 띈다. 건설업도 2만1천명 증가했다. 고용률 증가에도 여성 노동이 여전히 ‘돌봄’과 ‘서비스업’ ‘일반 사무직’ 등에 갇혀 있다는 해석도 가능해 보인다.

고용 총량 ‘견조’한데 단순노무직만 타격?

지표상 또 다른 특징은 단순노무직 12만명 감소다. 지난해 단순노무자는 392만7천명으로 2022년 404만5천명과 비교해 11만8천명이 줄었다. 외환위기 이후 최다로, 무엇보다 경제 근간인 제조업에서 단순노무직 5만6천명이 감소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만명)과 운수 및 창고업(1만6천명) 등도 줄었지만 가장 설명이 어려운 쪽은 역시 제조업이다.

전문가들은 우선 경기에서 원인을 찾는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4% 수준으로 낮다. 건설경기는 물론이고 수출이 막히면서 제조업이 1년 내내 어려움을 겪었다. 강신혁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인구구조적 요인이 크지 않은 가운데 경기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본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전부는 아니다. 강신혁 실장은 “제조업 경기와 고용은 시차가 존재하고, 총 취업자수는 견조하게 증가한 가운데 발생한 상황이라 이제 분석의 시작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주노동자 도입했는데
단순노무직 감소, 일자리 분화 조짐?

특히 위기감이 고조되는 것은 이주노동자 때문이다. 2023년 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은 이미 2022년부터 제기됐던 문제로, 인력수급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정부는 이 대목에서 급진적인 이주노동자 도입 정책을 시작했다. 이처럼 외부공급이 강력하게 시행된 해에 단순노무직이 대량으로 이탈한 것이라 해석이 어렵다.

가능성은 두 가지다. 우선 이주노동자 도입 정책이 아직 기능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다. 이주노동자 쿼터를 열었지만 실제 채용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자리가 비었을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단순노무직 일자리가 계층화한다는 점이다. 장인성 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센터 소장은 가설임을 전제로 “단순노무직 일자리가 있다면 이주노동자 채용 이전에 내국인 채용이 늘었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되레 (총량이) 감소한 것은 단순노무직에서도 3D업종 같은 곳의 빈 일자리가 유지되고 그보다 나은 일자리는 일자리 자체가 감소하는 분리된 현상이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다”며 “올해 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떤 방향이든 단순노무직도 업무 성격에 따라 분할될 가능성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제조업 일자리 내에서 이주노동자와 내국인 노동자 간 일자리 분리가 일어날 가능성을 지적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다만 강 실장은 “현 시점에서 노동시장의 각 지표의 변동에 따른 요인을 추적하는 것은 일부 가능하나 전반적으로 변화의 맥락을 설명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