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남성이 늘면 경제활동참가율·근로시간 같은 노동공급 총량이 줄어드는 반면, 미혼 여성이 늘면 노동공급 총량이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혼 남성은 저학력, 미혼 여성은 고학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은행은 8일 BOK이슈노트 ‘미혼인구 증가와 노동공급 장기추세’를 발표했다. 초혼 연령이 늦어지는 만혼화가 심화되면서 미혼인구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초혼연령은 남성이 2000년 29.3세에서 2022년 33.7세로, 같은 기간 여성이 26.5세에서 31.3세로 늘었다. 최근 만혼의 비혼화 경향까지 더해져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 비중인 생애미혼율은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높아졌다.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젊은 세대에 국한되지 않았다. 미혼인구 비중이 2000년 27.9%에서 2020년 31.1%로 3.2%포인트 상승했는데, 특히 핵심연령층(30~54세) 내 미혼인구 비중이 같은 기간 7.4%에서 24.6%로 17.2%포인트 증가하면서 총인구의 미혼율을 높였다.

미혼인구 비중은 남성이 더 높다. 지난 20년간 남성은 31.7%에서 36%로, 여성은 24.4%에서 26.3%로 증가했다.

학력수준별로 살펴보면 남성 미혼인구는 상대적으로 저학력 비중이 높았고, 여성 미혼인구는 고학력 비중이 높았다. 남성은 고학력 미혼 비중이 27.4%, 저학력 미혼 비중이 30.9%다. 여성은 고학력 미혼 비중이 28.1%, 저학력이 15.9%다. 학력수준별 격차는 여성에서 더 뚜렷했으며, 저학력인구에선 성별 격차가 두 배가량 벌어졌다. 이에 남성에게 만혼·비혼은 비자발적 요인인 반면 여성에겐 자기선택적 요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도 성별에 따라 달랐다. 남성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2013~2023년 평균 기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대비 각각 13%포인트, 16%포인트 높고 실업률은 약 4%포인트 낮다. 또 기혼 남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낮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길게 나타난다.

반면 여성 미혼인구 비중 증가는 노동공급 총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대비 각각 19%포인트, 16%포인트 낮다. 또 기혼 여성은 미혼에 비해 시간제 근로 비중이 높아 1인당 근로시간이 더 짧았다.

핵심연령층에서 미혼인구 비중 증가로 인한 여성의 노동공급 증가보다 남성의 노동공급 감소가 커 고용과 근로시간 측면 모두에서 총노동공급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했다는 진단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