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석영 기자

국내 최대 국적선사 HMM의 매각절차가 2주 뒤 본입찰만 남겨둔 가운데 HMM 노동자들이 ‘졸속·부실 매각’이라며 KDB산업은행에 무효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무금융노조 HMM지부(지부장 이기호)와 선원노련 HMM해원연합노조(위원장 전정근)는 9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은행은 HMM 매각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정부는 2016년 해운업 장기 불황 속 한진해운이 파산한 뒤 HMM 정상화에 힘썼다. 해운업은 우리나라 수출입 99.7%를 책임진다. 조선·제조·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도 크다. HMM에만 3조7천8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코로나19 시기 해운업 호황에 HMM은 매년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정상화에 성공했다.

HMM 매각은 지난해 8월부터 진행됐다. 대주주인 산업은행(22.69%)과 한국해양진흥공사(19.96%)는 보유 지분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 보통주 1억9879만156주와 함께 전환사채(4천억원)·신주인수권부사채(6천억원) 등 영구채 1조원(2억주)을 주식으로 전환해 매각하는 방식이다. 입찰적격후보는 하림그룹, 동원그룹, LX그룹 등 3곳이다. 지난 8일 이들에 대한 실사가 끝났고 이달 23일 최종 본입찰만 남았다.

문제는 세 후보 모두 자금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재진 사무금융노조 위원장은 “HMM 인수가는 5조~7조원 규모”라며 “세 곳의 현금성 자산은 LX그룹이 2조5천억원, 하림과 JK파트너스컨소시엄이 1조5천억원, 동원산업이 6천억원 정도”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결국 사모펀드 등 막대한 외부 차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자본수익 회수에만 몰두하는 투기자본의 잔치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최근 해운업 침체도 주목해야 한다. 전 세계 컨테이너선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가 지난해 최고점보다 80%가량 급락했지만 글로벌 선사들은 오히려 선복량(배에 실을수 있는 화물 총량)을 늘리고 있다. 출혈 경쟁이 불가피하다.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HMM 유보자금 14조원이 인수기업의 새 사업자금으로 흘러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가 영구채를 쥐고 있어서 대기업이 매각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위원장은 “이번 매각 이후에도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1조7천억 규모의 영구채를 보유해 이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정부는 32.8% 지분을 소유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국민연금 지분을 합치면 또다시 정부가 대주주로서 입김을 행사할 것”이라며 “영구채를 조기 상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노·사·정 및 재계와 학계 모두 협의체를 구성해 HMM 민영화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키워드

##HMM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