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이 파업을 종료하면서 18일 업무에 복귀했다.

서울대병원 노사는 지난 17일 저녁 8시께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분회장 윤태석)는 11일부터 인력충원과 의료공공성 확대 등을 촉구하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잠정합의에 따라 파업에 참여한 1천여명 노동자들은 이날부터 정상근무를 시작했다.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는 27일부터 4~5일간 진행된다.

분회는 민간병원에 비해 낮은 임금 인상률을 지적하며 정부 가이드라인(1.7%) 이상의 임금인상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 공공의료수당 신설을 제시했다. 1.7% 인상과 별도로 수당 신설을 통해 실질임금 보장이 이뤄져야 한다는 요구였다. 일시금 형태가 아닌 정기 수당 형태로 정당한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 합의에서 공공의료수당 신설에는 노사가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국 잠정합의안에 포함되지 않았다.

윤태석 분회장은 “단순히 임금격차 문제를 넘어 의료진 수급이 어려워 결국 공공병원 의료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노사가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 “(수당 신설에는 합의하지 못했지만) 문제점을 공론화시킨 것에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분회장은 “임금 가이드라인을 뛰어넘는 부분을 요구했고 일정 정도 성과를 냈다”며 “정규직 전환자의 경우 총액인건비 외에 별도 임금인상에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같은날 파업에 돌입했던 경북대병원분회는 13일 병원측과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총액 대비 1.7%를 인상하되 공공의료수당(2만원)을 신설하기로 했다. 코로나 지원금 일시금으로 10만원도 지급하기로 했다.

의료연대본부는 “공동파업을 통해 공공기관 임금 가이드라인과 인력통제는 노사관계를 약화시키고 국민의 건강권과 안전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계기가 됐다”며 “병원의 인력충원 요구는 노동자들만의 요구가 아니라 국민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요구였다”고 밝혔다.

이번 파업에서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 노사는 각각 34명과 70명 인력충원에 합의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