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와 정책금융기관이 내년 정책금융기관 자금공급 목표를 205조원으로 정하고, 이 가운데 81조원을 5대 지원전략 분야에 집중 공급하기로 했다. 자동차 부품산업과 조선산업, 철강산업 같은 전환기를 맞이한 산업에 17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한국산업은행·IBK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 7곳과 2023년도 정책금융 자금공급 협약을 맺고 이같이 밝혔다. 5대 지원전략 분야는 글로벌 초격차산업 육성(15조6천억원)을 비롯해 △미래유망산업 지원(13조1천억원) △사업재편 및 산업구조 고도화(17조3천원) △유니콘 기업을 중소·중견기업으로 육성(9조원)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경영 애로 해소(26조4천억원)다.

이 가운데 금융위는 저탄소·디지털 같은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국내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을 주도한 주력산업의 미래가 불투명하다며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17조3천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자동차 부품산업이 미래차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5조4천억원을 공급한다. 특히 산자부의 자동차 부품산업 체질개선은 핵심사업으로 보고 9천억원을 우선 투입하기로 했다. 조선산업은 중국 같은 후발국 기술추격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금융 2조7천억원을 공급하고, 산자부의 조선산업 친환경·스마트 전환 사업은 핵심사업으로 보고 1조8천800억원을 먼저 공급한다. 이 밖에도 철강산업 3조6천억원, 정유산업 1조5천억원, 섬유산업 2조9천억원, 항만장비 2천억원, 광학산업 3천억원을 지원한다.

다만 에너지·발전산업쪽 산업구조 전환과 관련한 예산은 누락됐다. 금융위는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미래차 산업과 함께 원전 생태계 분야도 초격차 산업으로 보고 자금공급 계획을 세웠지만 문을 닫는 석탄화력발전소나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같은 발전산업 분야도 포함되지 않았다. 금융위는 “탄소중립 이행 같은 글로벌 원전수요 증가에 대응해 산업 생태계 복원과 차세대 원전기술 확보를 종합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3조원을 지원하고 산자부의 원전산업 생태계복원 사업은 부처 핵심사업으로 분류해 7천억원을 우선 투입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