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내년 임금·단체협상 주요 쟁점으로 ‘임금체계 개편’과 ‘정년연장’을 꼽았다.

20일 한국경총은 회원사 기업 125곳을 대상으로 2023년 노사관계 전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총은 “내년 임단협이 5월 이후 시작해 교섭기간이 3~4개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임단협 개시 시기는 5~6월이 35.3%, 7월 이후도 28.5%로 나타나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이 5월 이후에 임단협이 개시될 것으로 내다봤다. 임단협 소요 기간은 1~2개월이 30.4%, 3~4개월이 35.7%, 5개월 이상이 27.8%로 올해보다 다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임금과 복리후생을 제외한 임단협 주요 쟁점으로는 임금체계 개편(36.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년연장(19.3%), 고용안정(13.5%), 경영성과급의 임금성 인정(13.5%), 노조활동 확대(6.7%), 인력충원(4.2%), 유연근무제 도입(3.4%), 비정규직의 정규직화(2.5%) 순으로 집계됐다.

노사관계 불안 요인을 묻는 항목에서 기업 46.5%는 노동계 우호적 입법환경을 꼽았다. 28.7%는 노동계 투쟁 증가, 19.8%는 임단협을 둘러싼 노사갈등 증가라고 답했다. 노사관계 개선을 위해 필요한 법·제도로는 사업장 점거 전면 금지(26.6%)가 가장 많았다. 이어 부당노동행위 제도 개선(24.2%), 파견제도 개선(22.6%) 등이 꼽혔다.

장정우 경총 노사협력본부장은 “기업들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개정 시도 등 노동계 우호적 입법환경에 대해 상당히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노동개혁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고 있는 만큼 산업현장 법치주의 확립과 노동시장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