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마지막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예측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서도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아 긴장을 끈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과 함께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연준은 13~14일(현지시간) FOMC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4.25~4.5%로 0.5%포인트 인상했다. 15년 만에 최고수준이지만 앞서 네 차례나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이른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것과 비교하면 인상 속도를 조절한 셈이다.

이런 결정은 최근 물가가 지속하락하고 있는 점을 고려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월 9.1%를 기록한 뒤 8월과 9월 8%대로 하락했고 10월 7% 수준으로 둔화했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당초 예상인 7.3%보다 0.2%포인트 밑돈 7.1%로 집계됐다.

다만 금리인하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FOMC 이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산할 때까지 금리인하는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번 금리인상 폭은 시장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추이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기대와 정부 시장안정조치로 안정을 되찾아 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정부에 따르면 기업어음(CP) 금리는 10월 초 이후 3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고, 회사채 금리도 하향한 가운데 발행량도 증가추세다. 환율도 1천400원에서 1천200원대로 하락해 변동성이 완화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자금시장 경색 해소를 위해 내년 초부터 5조원 규모 프라이머리 CBO 프로그램을 가동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채권시장에서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어려운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국책금융기관의 신용보강을 거쳐 발행하는 집단 유동화증권이다. 정부는 이 밖에도 한국증권금융을 통해 증권사 유동성을 지원하고, 한국은행도 유동성 공급 관련 역할을 강화하는 등 지원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부실 우려가 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해서도 5조원 규모의 미분양 PF 대출보증을 다음달 1일부터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