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임금이 월평균 6.1% 올랐지만 성과급에 해당하는 ‘특별급여’에 따라 업종·직종별로 격차가 컸다. 한국경총은 “고액의 성과급이 근로자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주고 사회적 격차를 심화시킨다”며 “합리적 수준에서 조정·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경총은 ‘2022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을 25일 내놓았다. 고용노동부의 1~6월 누계 사업체노동력조사(근로실태부문)를 재분석한 자료다. 이에 따르면 올해 1~6월 초과급여를 제외한 월평균 임금총액은 384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6.1% 올랐다. 지난해 임금인상률(4.2%)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임금인상을 이끈 것은 특별급여다. 올해 기본급이나 통상수당같이 고정된 정액급여는 1년 전보다 4.1% 오른 반면 특별급여는 19.1% 올라 가파르게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급여는 성과급, 상여금, 임금인상 소급분 등에 해당하는 변동성 급여다.

올해 상반기 기업규모에 따라 임금격차가 더 벌어졌는데 경총은 특별급여에 따른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300명 이상 대기업은 올해 월평균 임금총액이 9.8% 오른 반면 300명 미만 중소기업은 절반 수준인 4.8% 인상되는 데 그쳤다. 300명 미만 사업장의 경우 월평균 정액급여는 311만원으로, 300명 이상 사업장(410만7천원)의 76% 수준이다. 그런데 월평균 특별급여는 300명 이상 사업장은 116만원, 300명 미만 사업장은 32만7천원으로 5배 가까운 차이가 난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올해 상반기 특별급여 격차가 규모별·업종별로 매우 크다”며 “좋은 실적을 거둔 기업이 근로자에게 성과 보상을 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고액 성과급은 사회적 격차를 심화하는 만큼 조정·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