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망자가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하위 10%의 코로나19 사망자가 소득상위 10%의 두 배를 넘었다.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코로나19 상병 의료기관 내원환자 및 사망자 현황’을 24일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19 최초 발병일인 2020년 1월20일부터 올해 5월31일까지 코로나19로 의료기관을 내원한 직장가입자는 약 480만명이었다. 이 중 30일 이내 사망자는 971명으로 전체 코로나19 의료기관 내원환자의 0.02% 수준이다. 건강보험공단 자료분석 한계로 직장가입자만을 기준으로 코로나19 내원환자와 30일 이내 사망자 현황을 분석했다는 설명이다.

30일 이내 사망자 971명 중 소득하위 10%인 1분위 사망자는 199명(20.5%)으로, 소득상위 10%인 10분위의 93명(9.6%)보다 2.14배 많았다. 1~2분위(하위 0~20%) 사망자로 넓혀서 보면 322명(33.2%)으로, 9~10분위(상위 0~20%) 166명(17.1%)의 1.94배였다.<표 참조>

김 의원은 “광범위한 코로나19 감염 속에서도 소득이 낮을수록 사망자가 많이 나타났다는 것은 소득불평등이 건강불평등으로 이어졌다는 뜻”이라며 “저소득층일수록 생활상의 문제 때문에 의료기관 내원을 꺼리고, 검사와 치료를 기피할 수 있어 실제 상황은 더 심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지난 11일 이후 확진된 재택치료자에 대한 비대면 진료비와 약값 등 의료비 지원을 중단한 것을 두고 저소득층의 부담이 가중된다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정부는) 허울뿐인 ‘과학방역’을 핑계로 국가의 책무를 방임하지 말고, 진단·격리·치료 등 코로나19 대응 전 단계에서의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