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주최로 2020년 7월7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 협의회 출범식에서 최영미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협동조합협의회 상임대표가 활동 계획을 밝히고 있다.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국제노동계가 노조 조직화를 위해 청년·여성·플랫폼·비정규직을 주목하고 있다. 코로나19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은 계층이자 불평등 사회를 절감해 노조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다고 봤다.

9일 한국노총에 따르면 국제노총 아태지역기구(ITUC-AP)와 일본국제노동재단(JILAF)·싱가포르노동연구기구(OCTi)는 지난달 16일부터 19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청년리더십교육을 개최했다. 코로나19가 각 나라 경제사회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노조활동의 방향을 살펴보는 자리로 꾸며졌다. 전문가들이 발표하고 각국에서 온 노조 관계자들이 토론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이들은 코로나19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회적 계약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정의로운 전환, 안정적 일자리와 생애 전 주기 교육, 사회적 보호, 남녀 불평등과 인종·외국인 혐오 해소, 비공식노동의 공식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코로나19가 노동자와 노조에 위협을 줬지만 교훈도 남겼다고 봤다. 고용불안과 임금감소 등의 불평등이 사회적 약자에게 전가되는 불평등 사회를 체감했다는 점을 꼽았다. 공공서비스와 공공 건강관리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는 것에도 주목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기존에는 조직화하기 어려웠던 비공식 경제에 속하는 여성과 청년노동자 조직화로 방향을 잡았다. 코로나19가 불러온 비대면 사회·IT기술 발전을 십분 활용해 조직화 도구로 삼아야 한다고 봤다.

아시아권 노조 조직 상황을 살펴보고 대안을 찾는 순서도 마련됐다. 전 세계적으로 노조 조직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아시아권의 감소 폭이 더 크다는 진단이 나왔다. 다만 한국만 노조 조직률이 증가했다. 플랫폼노동 증가, 노조에 비친화적인 정부, 코로나19 등의 영향이 노조 조직화에 나쁜 영향을 줬다. 한국은 소방관 등 공공부문 조직률이 상승하면서 전체 조직률이 개선된 것으로 보고됐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코로나19로 99%의 사람들은 소득이 줄었으나 1%의 엘리트 그룹은 오히려 소득이 늘었으며, 아시아 안에서도 이런 모습이 발견되고 있었다”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득 불균형 실태를 널리 알리고 미래 불안을 해소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고민을 나눴다”고 교육 내용을 전했다. 교육 참가자들은 교육, 부의 재분배, 조세정책 개혁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고 한다. 국제노총은 교육·토론 내용을 공개해 각국 노조 활동가들이 활동에 참고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