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스태프 70%가량은 인적 네트워크로 제작에 합류한다. 이런 네트워크로 전문인력을 확보하며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해소하는데, 경력이나 숙련도에 따른 보상은 이뤄지기 어렵다. 때문에 경력·숙련 요소를 관리하고 인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나온다. 시스템을 구축해야 노사 주체가 노동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다는 목소리다.

1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는 ‘영화산업 스태프의 경력인증시스템 필요성과 추진 방향’ 보고서에서 “영화산업에서는 개별 노동자의 전문성이 노동조건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척도지만, 현장에서는 숙련 수준의 객관적 입증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경력관리·인증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경력관리·인증시스템·교육훈련시스템은 미흡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료 또는 선후배를 통해 작품에 참여한다는 스태프 비율이 2016년에는 71.7%, 2019년에는 73.8%를 기록했다.

이렇다 보니 제작사 역시 스태프들의 숙련수준을 입증할 만한 객관적 자료를 보유하지 못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을 통해 관리·운영하는 영화인 데이터(개봉작 크레디트 전수조사를 통해 확보된 결과물)가 한국영화계의 스태프 경력 확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지만, 개별 스태프가 해당 영화 제작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으며, 어느 기간만큼 참여했는가에 대한 세부 정보는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제작사는 인력충원을 인맥에 의존하는 상황이고, 스태프들도 자신의 전문성을 입증할 자료를 제시하기 쉽지 않아 자신의 경력·숙련도에 따른 공정한 임금수준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박용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은 “경력인증시스템을 통해 스태프의 경력이 객관화돼 공공성을 획득하게 되면 사측과 스태프 간 경력 해석에 관한 불필요한 분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기준으로 보수 책정·협상이 가능해져 사용자는 제작 운영의 안정성을 꾀할 수 있고 스태프는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경력인증시스템 지표들은 최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며 “누적된 정보를 통해 각 직종·직급별 인력규모가 파악되면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훈련프로그램과 적정 임금체계·임금수준 설계까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