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한국 청년실업률은 10.7%다. 4년 연속 오름세다. 청년들은 생애 자립기반 기회조차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

저성장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며 청년들을 둘러싼 생활환경도 변했다. 자립할 나이가 됐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정서적으로 의존하는 캥거루족이 전체 청년층의 57%나 된다.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니트족은 16.6%다. 청년들은 일자리나 내 집 마련, 출산·육아에서 “자신감이 떨어진다”고 입을 모은다.

가구소득 높을수록 캥거루족 많고 니트족 적어

2017년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가 지난 27일 오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한국 청년의 삶’이라는 주제로 마련된 기획세션에서 패널들은 고학력화·구직난·부동산가격 폭등으로 청년층의 경제적 자립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호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이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19년차 연도(2016년) 자료를 분석했더니 20~34세 이하 성인 청년층의 56.8%인 631만7천494명이 캥거루족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생의 캥거루족 비율이 99.1%로 가장 높았다. 니트족(74.2%)과 취업자(38.2%)가 뒤를 이었다. 동일한 취업자라도 여성(40.0%)이 남성(36.9%)보다 부모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캥거루족 비율이 높았다. 연간 가구소득 8천만원 이상 고소득가구의 자녀 캥거루족 비율은 80.9%, 2천만~3천만원 미만 가구는 44.4%를 기록했다.

예상대로 청년층 본인소득이 증가할수록 캥거루족 비율은 감소했다. 월평균 소득 100만원 이하 저소득 청년취업자의 캥거루족 비율은 81.9%인 데 반해 301만원 이상 고소득 청년취업자의 캥거루족 비율은 12.0%에 그쳤다.

지난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분석한 결과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니트족 비율은 16.6%로 조사됐다. 니트족 중 취업을 준비 중인 비율이 45.3%로 가장 높았다. 휴식 중이거나 구직을 포기한 경우도 27.7%나 됐다. 진학 준비는 7%였다.

캥거루족은 연간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았는데, 니트족은 반대 경향을 보였다. 니트족 비율은 연간 가구소득 4천만원 미만(26.0%)일 때 가장 높았고,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가구소득 8천만원 이상은 14.0%다.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취업이나 직업훈련 경험은 청년의 니트 경험을 낮추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우리나라는 취업 경험 없이는 실업급여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미취업 청년들을 지원하는 실업부조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 생애주기에 맞는 정책 만들어야”

청년들의 삶의 자신감 수준을 5가지 항목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도 관심을 끌었다. 5점 만점에 인간관계가 3.63점으로 가장 높았다. 연애와 결혼(3.39점)·일자리(3.26점)·내 집 마련(3.19점)·출산과 육아(3.19점) 순으로 자신감이 낮아졌다.

청년들의 자신감은 교육·취업 여부·고용형태에서 차이가 났다. 자신감 수준을 보면 고졸이하가 3.11점으로 가장 낮은 반면 석사 재학 이상이 3.56점으로 가장 높았다. 미취업자(3.23점)보다는 취업자(3.41점), 비정규직(3.23점)보다는 정규직(3.50점)이 자신감이 높았다.

통계청이 올해 8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층 고용률은 43.4%로 10명 중 4명에 머물렀다. 졸업 후 첫 취업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1.6개월이고, 청년취업자 10명 중 서너 명은 비정규직이다. 비정규직 임금은 정규직의 61.3% 수준이다.

김지경 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정책은 곧 일자리정책이라는 틀로 일자리 문제와 주거문제를 분절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생애주기별 맞춤정책이 필요하다”며 “20대 초·중반 노동시장 진출 시기에는 일자리정책에 무게중심을 두고 20대 후반과 30대 초반 청년들에게는 주거정책에 무게를 싣는 포괄적 청년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한국노동연구원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한국노동경제학회·한국사회보장학회·한국사회학회·한국산업노동학회·한국인구학회·한국인사관리학회·한국재정학회·한국조사연구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