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력 커서 고용승계 거부? 서울시청소년상담센터 논란

강서대로 위탁변경 뒤 29년차 핵심인력만 승계 제외

2025-11-25     이수연 기자
▲공공운수노조 사회복지지부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29년간 근무한 핵심 인력이 ‘센터 내 영향력이 크다’는 이유로 새 위탁법인의 고용승계 대상에서 제외되자 노동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공공운수노조 사회복지지부(지부장 김희라)는 2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위기청소년을 상담하고 지원하는 센터 종사자가 자주 바뀌어 연속성을 잃으면 무엇보다 청소년에게 좋지 않다”며 “서울시가 고용승계 책임을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이달부터 센터 운영을 위탁받은 강서대는 정규직 20여명 중 A부장 한 명만 고용승계를 하지 않았다. A부장은 센터 설립 초기부터 약 29년 근무한 핵심 인력이다. 강서대는 운영 개시 3일 전 미승계 방침을 통보했다. 이는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고용승계를 원칙으로 한다’는 정부의 ‘민간위탁 노동자 근로조건 보호 지침’과 충돌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서대 기획처장은 <매일노동뉴스>에 “새 센터장 모집이 중요한 과제인데 기존 부장이 행정지원팀장을 겸직해 영향력이 큰 만큼, 센터장과 호흡을 맞춰 조직을 총괄할 새 부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전원 고용승계를 고민했지만 우리와 함께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어갈 조직 구성이 우선이었다”고 해명했다.

서울시 청소년복지과 관계자는 “고용승계 관련 강서대에 한 차례 검토 요청을 했으나 이미 결정된 사안이라 번복이 어렵다”며 “최대한 고용승계가 이뤄지면 바람직하지만 위탁기관의 인사권을 존중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센터장 모집 이후 센터 내부에서 부장직 공개채용이 진행될 예정이다.

강서대는 과거 서울강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를 수탁운영할 당시, 교내 B교수의 센터 직원 성희롱·직장내 괴롭힘, 신규 채용시 경력 산정 지침 미준수로 급여 과지급 등의 문제가 발생해 이번 위탁기관 적격성을 둘러싼 논란도 제기됐다. 서울시는 재심사 뒤 기존 결정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