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중대재해에] 포스코노조 “노동자 스스로 움직이는 안전 필요”
“위에서 만든 행정 중심 대책 탓에 재해” … 민주노총 “죽음의 위주화 중단해야”
포스코노조(위원장 김성호)가 최근 포스코 사업장에서 반복된 중대재해 사고와 관련해 “안전은 단 한순간도, 어떤 이유도 타협할 수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고 노동자 중심의 자생안전 철학을 제시했다.
포스코노조는 24일 오후 성명서를 내고 “CEO와 동등한 결정 권한을 가진 ‘그룹안전특별진단 TF’에서 가시적인 대안을 만들어내던 중 사고가 발생한 것에 더욱 큰 책임을 느낀다”며 “지금의 ‘지시받는 안전’에서 벗어나 노동자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주체적 안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노동자로부터 시작되는 안전 △현장 중심의 안전 △노동자가 안전 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안전 등 3대 노동자 중심 자생안전 철학을 밝혔다. 안전 방향으로는 노동이사제 도입과 노후설비 투자 심의에 노조 참여,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의무화 등을 제안했다.
지난 21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사에서 청소 작업을 하던 노동자들이 일산화탄소에 질식돼 현재까지 의식불명 상태에 있다. 5일에는 하청노동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숨졌다.
노조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행정 중심의 현행 안전관리 체계를 비판했다. 노조는 “현재 포스코의 안전관리 체계는 불필요한 문서·보고·중복 업무로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며 “현장이 요구하는 것은 종이 위의 안전이 아닌 실제 안전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인력”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현장을 지킬 사람도 시간이 없는데 ‘현장지킴이 배치 강화’를 반복하는 행정 중심 안전은 오히려 재해 위험을 높이는 터무니없는 발상”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위에서 만든 지시형·보고형 대책만 되풀이한다면 포스코의 재해는 절대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며 현장 중심의 실질적 변화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경북본부 포항지부(지부장 송무근)와 금속노조 포항지부(지부장 신명준)는 이날 오전 경북 포항 포스코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가 죽음의 외주화를 유지하는 한 어떠한 안전대책도 작동할 수 없다”며 불법파견 중단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