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지부 “직영정비 폐쇄는 구조조정 신호탄”

비대위 출범하고 사쪽·정부에 압박·호소 나서 … 지분 17.1% 보유 산은 등에 개입 요구

2025-11-19     이재 기자
▲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조합원들이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 한국지엠 서울서비스센터 앞에서 직영 정비 저지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정비 직영서비스센터 매각에 반대하는 한국지엠 노동자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인천시에 노사정협의체 구성을 요구했다. 한국지엠 주주인 산업은행을 비롯해 정부와 국회 등을 압박하면서 직영서비스센터 매각을 저지한다는 구상이다.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지부장 안규백)는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지엠 서울직영서비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엠의 구조조정 시도를 막기 위한 총력 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관세 대응이라더니” 브랜드 신뢰 스스로 ‘흔들’

안규백 지부장은 “한국지엠은 직영정비 폐쇄 이유로 지속적 손실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그리고 관세 재정 압박을 내세우나 사실을 왜곡한 일방적 주장”이라며 “한국지엠 생산 차량 90%를 북미로 수출하고 대미 관세협상 타결로 우려했던 관세 부담은 현저히 완화됐는데도 한국지엠은 직영정비를 폐쇄하겠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지부는 직영서비스센터 9곳 폐쇄를 단순한 사업장 축소 이상의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안 지부장은 “정비망은 고객서비스 최전선이자 브랜드 신뢰와 안전을 지키는 핵심 기반”이라며 “서비스망이 무너지면 고객 신뢰가 흔들리고, 판매가 줄고, 생산도 축소하고, 결국 또 다른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영서비스센터 9곳이 전국에 산재한 만큼 한국지엠이 호언하는 인력 전환배치도 난망하다. 한국지엠 직영서비스센터는 서울을 비롯해 동서울·인천·원주·대전·전주·부산·창원·광주에 걸쳐 있다. 폐쇄에 따라 전환배치하면 광역 간 이동이 불가피하다. 지엠이 대우자동차를 인수해 한국지엠을 설립한 뒤 공장 폐쇄나 가동 중단, 물류센터 통·폐합 등이 이뤄지면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노동자도 있었다. 지부를 비롯한 한국지엠 노동자가 구조조정에 따른 폐쇄 등에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배경 중 하나다.

게다가 직영서비스센터 폐쇄는 노사합의를 위반했다는 지적도 피하기 어렵다. 한국지엠 원청 노사는 지난달 23일 올해 임금협약과 직영서비스센터 폐쇄 원점 재논의를 뼈대로 하는 합의를 이뤘다. 그런데 한국지엠은 지난 7일 돌연 “본사가 결정했다”며 직영서비스센터 폐쇄를 통보했다. 노사가 합의로 고용안정특별위원회를 열고, 이후 직영서비스센터 관련 태스크포스(TF)까지 출범했는데 한순간에 휴짓조각이 된 셈이다. 이후 노사는 직영서비스센터와 관련해 만나지 않고 있다.

산업부 국회 토론회서 “시간 여유 있다 봤는데”

지부는 노조의 역량을 모두 쏟아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한국지엠 지분 17.1%를 보유한 산업은행에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산업은행이 지부를 직접 만나는 것을 꺼리고 있어 국회를 경유한 우회적 압박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부 책임도 강조한다.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외국인기업 횡포 관련 토론회에서 지부 관계자들은 패널로 참여한 산업통상부 투자협력과 관계자와 고용노동부 노사협력정책과 관계자에게 거센 질의를 하며 책임을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 관계자는 “2028년까지 시간적 여유가 2, 3년가량 있을 것으로 봤다”며 다른 상황인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관계자가 말한 여유는 군산공장 폐쇄 뒤 8천90억원을 우리 정부가 투자하면서 체결한 협약 유효기간을 의미한다. 이 관계자는 “여유가 없다는 현장 의견을 존중해 부처 내 유관부서와 협력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지부는 인천시청 앞에서도 기자회견을 열어 직영서비스센터 폐쇄 저지를 재차 강조하고 유정복 인천시장을 만나 노사정협의체를 꾸려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