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붕괴사고] 김영훈 장관 “안전·신속한 구조에 최선”
40대 1구 시신 수습, 7명 중 3명 사망 확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9일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와 관련해 “안전하고 보다 신속한 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본부장인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후문 앞에서 브리핑을 열고 “사고 발생 후 75시간이 지났음에도 추가 생존자를 구조하지 못해 가족분들과 국민 여러분께 매우 송구하다”며 “붕괴된 5호기 보일러타워 좌우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 보일러타워가 위치하고 있어 대규모 장비나 인력투입 등에 어려움이 있었고 구조작업에 속도를 내기가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위험요소를 제거하면서 구조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붕괴위험이 있는 4·6호기를 해체하기로 했다”며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민관전문가 등과 긴밀히 협업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 사전조치를 완료해 나가겠다. 다만 해체작업 과정에서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추가 위험요소들을 철저히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40대 노동자 시신을 수습했다.
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지난 6일 오후 해체 작업 중이던 60미터 높이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붕괴됐다. 이 사고로 작업 중이던 하청노동자 7명이 매몰됐고, 사망자 3명의 시신이 수습된 상태다. 현장에는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보일러 타워 해체공사는 동서발전이 HJ중공업에 발주했고, HJ중공업이 이를 발파업체인 코리아카코에 하청을 줬다.
앞서 중앙사고수습본부는 7일 밤 11시 가족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붕괴 가능성이 있는 4·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4·6호기에 대한 발파가 이뤄지면 피해자에 대한 구조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매몰자 구조·수색작업 이후에 수사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노동부는 이번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기 위해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적극 추진하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신속하고 엄정하게 수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