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전문상담관 5명 중 1명 “PTSD 시달려”

노조 실태조사 … “소방공무원 PTSD 4배, 강제로 근무지 전환”

2025-10-01     정소희 기자
▲ 공공운수노조

군부대 장병들에게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국방전문상담관 5명 중 1명은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상담관은 괴롭힘과 무리한 근무지 이동 등으로 인한 고용불안 등을 호소하며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국방전문상담관지부(지부장 남은아)는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지부와 정책연구소 이음은 5월19일부터 6월9일까지 국방부 소속 전문상담관 462명(성고충전문상담관 99명·병영생활전문상담관 3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20.3%가 PTSD를 최근 1년 내 경험했다고 답했다. PTSD 유병률이 매우 높은 직종인 소방공무원이 2021년 기준 5.7%의 호소율을 보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높은 수치다. 한인임 이음 이사장은 “국민 1년 유병률 조사에서 남성은 0.2%, 여성은 1.1%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방전문상담관의 유병률은 너무 높은 수치”라며 “다른 이의 정신건강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이들은 정작 자신의 건강을 챙기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상담과 교육을 위한 출장도 잦았다. 응답자의 한 주 평균 이동거리는 100.4킬로미터에 달했다. 이동수단은 70.6%가 자신의 차라고 답했지만, 출장비는 지출액의 50.8%가 지원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84%는 하는 일에 비해 임금이 적다고 답했고, 72.7%의 응답자가 근속수당이 낮은 것을 임금구조 중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직장내 괴롭힘 경험도 적지 않았다. 지난 1년 중 언어폭력을 경험했다는 이는 13.2%였고, 차별이나 왕따를 겪은 사람은 19%였다. 응답자의 82% 공무직인데도 67%가 고용불안을 호소했다. 가장 큰 이유는 78.9%의 응답자가 고른 ‘강제로 근무지가 전환배치되는 문제’ 때문이었다.

이들은 상담관에게 전문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고, 처우 개선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안승희씨는 “일반근무지는 5년마다, 특수근무지는 10년마다 강제이동을 하는데 숙소 지원과 같은 지원책이 마련돼 있지 않다”며 “현역 군인이 아닌 민간인 근로자가 강제 이동하는 것도 문제지만 어느 부대로 배치될지 몰라 모든 문제를 상담관이 떠안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남은아 지부장은 “전문상담관 정책 운영과 처우는 국방부가 결정하고 실제 정책은 군이 시행하는 형태”라며 “국방부 내에 전문상담관 컨트롤타워를 설치해 상담관의 자율성과 전문성·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