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기후단체 “용인 반도체산단, 기후위기 역행”

산단 내 발전소·용수 공급 ‘규제 회피’ … “탄소중립 노력 수포로 만들어”

2025-09-22     이재 기자
▲ 기후정의실천단

내년 첫 삽을 뜨는 용인 반도체 국가첨단산업단지가 탄소중립 정책에 역행하고 지역 간 불평등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다.

민주노총 경기지역본부와 2025 기후정의실천단 등 기후단체는 22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10기가와트(GW) 이상의 추가 전력 수요가 예상돼, 정부는 국가산단 내에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라며 “신규 LNG발전소가 배출할 온실가스는 977만톤에 달해 내연기관차 440만대가 1년간 배출하는 양”이라고 비판했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에 정면으로 위배한다는 의미다.

이들은 “반도체 국가산단은 심각한 환경오염과 자원 고갈을 초래하고 국가산단이 배출할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경기도 노력을 수포로 만든다”며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계획 전면 재검토 요구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이 환경규제 검토도 받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실제 환경영향평가와 기후변화영향평가 등은 없었다. 주민 동의 절차도 진행하지 않았다.

발전소뿐 아니라 송전선도 문제다. 정부는 3조7천억원을 들여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부족한 전기를 끌어올 송전망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거치지 않았다. 양수 공급 계획도 졸속이라는 비판이다. 민주노총 경기본부 등은 “2030년대 중반에 이르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쓰는 공업용수는 하루 167만톤으로, 서울시 사용량의 60%”라며 “팔당댐 공급량 최대는 77만톤에 불과한 데다 기후변화로 강수 양극화가 심화돼 반도체 양수 공급이 시민에게 어떤 고통을 안길지 상상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