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비정규직 첫 공동파업 “공공재생에너지법으로 총고용 보장”

대통령실 앞서 ‘총파업 대회’ … “석탄화력발전소 폐쇄한다며 고용대책은 없어”

2025-08-27     정소희 기자
▲ 공공운수노조 소속 발전소 비정규노동자들이 27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2025년 임단협 승리! 죽지 않고 일할 권리 쟁취! 발전소 노동자 총고용 보장!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 대회를 하고 있다. <정기훈 기자>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하청노동자들이 27일 첫 공동파업에 나섰다.

공공운수노조(위원장 엄길용)는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발전 비정규 노동자 총파업 대회를 열고 “공공재생에너지법을 제정해 발전노동자 총고용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엄길용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올해부터 석탄화력발전소가 줄줄이 폐쇄하는데 정부는 폐쇄 계획만 내놓고 고용대책은 없다”며 “재생에너지를 재벌에 넘겨줄 게 아니라 국가가 책임져 발전 노동자 고용을 승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6~7월 태안과 동해화력발전소에서 연이어 하청노동자가 사망한 것과 관련해서도 엄 위원장은 “발전소 산재사망 피해자는 모두가 하청·비정규 노동자”라며 “대통령 말대로라면 현장에서 살인이 지속되고 있는데, 이 살인을 멈추는 길은 정규직화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조 금화PSC지부·발전HPS지부·일진파워노조는 2025년 임금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이날 하루 파업했다. 이들은 모두 발전소에서 경상정비 업무를 맡은 발전사 1차 하청사 노동자다. 금화PSC지부는 사쪽이 교섭에서 기본급 1% 인상안을 제시했고, 일진파워노조는 임금동결을 주장해 임금인상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올해 말부터 석탄화력발전소가 폐쇄함에 따라 정부에 고용대책을 주문하고 있다. 국회 국민동의청원이 성사된 공공재생에너지법을 입법해 전력산업 민영화를 제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법안에는 정부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폐쇄된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의 고용대책을 수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김철진 일진파워노조 위원장은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한 우리는 공공재생에너지법 제정을 통한 고용방안을 요구한다. 이는 전력산업 민영화와 총고용을 보장할 유일한 대안”이라며 “하청노동자를 일회용품 취급하는 나라는 진정한 나라가 아니다. 정부가 고용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발전소 비정규 노동자는 한데 모여 투쟁 수위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