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청 정국’ 장관으로 2라운드 개막
국민의힘, 이진숙 ‘논문 쪼개기’ 조준 … 노동부 장관 논란 상대적으로 잠잠
국민의힘의 반대에도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하며 총리 인사청문 정국이 일단락됐다.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이 줄줄이 예고돼 여야 샅바 싸움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6일 오전 논평을 내고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쪼개기’ 의혹을 정조준했다. 이 대변인은 “이 후보가 2018년 발표한 두 개의 논문은 제목부터 데이터 구조, 결론까지 완전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게다가 해당 논문은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과 판박이 수준이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권에서는 법을 유린하고 양심이 없어야만 장관 후보자가 될 수가 있냐”며 “제자의 연구성과를 가로채고, 학계를 속인 사람이 대한민국 교육의 백년대계를 책임질 교육부 수장이 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는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시절 각각 다른 학회지에 비슷한 내용을 담은 논문을 발표해 중복 게재 의혹이 제기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인사청문회를 빠르게 마무리하고 국정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인 반면, 국민의힘은 이번 인사를 “여권과 대선캠프 출신에 대한 보은 인사”라고 보고 송곳 검증을 이어 가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기준 확정된 인사청문회 일정은 오는 14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15일 권오을 국가보훈부·김성환 환경부·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16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다.
김영훈 후보자의 경우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잠잠한 편이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만을 주제로 한 논평을 이날까지 한 건 발표했다. 메시지의 내용은 “이재명 정권 출범에 민노총이 지분을 갖고 있는 ‘공동주주’라는 노동계 주장을 스스로 인정한 셈” “(김 후보자가 중대재해 발생 시 그룹 오너까지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경영 현실과 헌법상 과잉금지 원칙까지 무시한 발언으로, 민노총 논리의 복사판” 등 민주노총 출신임을 공격하는 데 할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