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파면까지 124일, 시민이 지켜낸 민주주의
통계로 본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4개월 활동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5일 ‘윤석열 파면 촉구’ 4개월간의 활동을 정리한 통계를 발표했다. 12.3 내란 사태 발발 이후 124일간의 투쟁 끝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기까지 시민들은 전국과 해외에서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집회와 행동을 이어갔다.
서울 광화문을 중심으로 67차례의 집회와 60회의 시민행진(총 145킬로미터)이 진행됐고, 연인원 1천만명이 참여했다. 광장은 민중가요, K-팝 등 220여개의 공연, 1천100여명의 예술가들로 채워졌다. 시민들은 비폭력으로 맞섰다. 특히 탄핵안이 가결된 지난해 12월14일과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이달 4일) 사이 긴급행동과 철야 농성, 대규모 토요행진 등이 이어졌다.
시민들은 농민의 트랙터 시위행진을 경찰이 막아 생긴 ‘남태령 대첩’, 체포 집행을 거부해 한남동 관저로 숨어들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를 위해 진행된 ‘한남동 대첩’을 승리로 이끌어냈다.
3일간 100만명이 참여한 온라인 탄원도 전례 없는 기록으로 남았다. 자원봉사자 1천여명, 수어통역사와 의료지원단 연인원 각각 166명, 2천여명 등이 안전한 집회를 지원했다. 인권침해감시단(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평일 10여명, 시민대행진 50여명 등 연인원 1천여명의 변호사가 참여했다.
사법적 조치도 이어갔다. 비상행동은 △윤석열 등 내란죄 및 외환죄 고소·고발 △체포방해 박종준 경호처장·김성훈 차장 등 고발 △12.3 비상계엄 및 포고령 헌법소원 청구 △‘헌법재판관 미임명’ 최상목과 국무위원 21명 직무유기 고발 등 7건의 고소·고발, 1건의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비상행동은 지난해 12월14일 발족해 전국 1천732개 단체로 구성돼있으며, 140명 활동가들이 모든 활동을 기획하고 집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