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지부 “국회, 미 관세 대안 마련해라”
철수론 나오는데 사용자는 무대응, 답답한 노동자 … 일부 국회의원 “‘공동 대안 마련’ 지부 제안 적극 수용”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가 미 정부의 관세압박으로 한국지엠이 철수를 검토할 수 있다며 국회에 긴급 대응을 촉구했다. 각 정부부처와 한국지엠 2대 주주인 산업은행 등을 압박해 대책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지부는 13일 오후 인천시 한국지엠 부평공장에서 트럼프 관세 정책 관련 대응 토론회를 열고 토론회에 참여한 각 정당과 의원실에 긴급 대응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지부는 국회 정무위원회에 △트럼프 2기 정책에 대한 한국지엠 공급망 영향 관련 산업은행 리포트 확보 △노조·산업은행·정무위원 긴급 간담회 △사용자 검토사항 공유 등 협력방안 논의를 제안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기업벤처위원회에는 마찬가지로 공급망 영향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보고서 확보와 간담회, 그리고 산업정책 공동 논의를 요구했다. 환경노동위원회에는 공급망 관련 실사 대책 방안과 간담회를 요구했다. 토론회에 참여한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 정혜경 진보당 의원 등은 4월 말까지 지속가능한 한국지엠 공급망 종합대책 보고서를 각 상임위원과 지역구 의원, 노조가 같이 작성하자는 요구도 모두 수용했다.
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이브리드 차종 배정이 무산되고 생산량의 90% 이상이 모두 미국 등 해외시장으로 수출되면서 미 정부 관세압박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돼 있다. 특히 내수판매 비중이 4.98%에 그쳐 생산하청기지로 전락한 상태다.
지부는 이런 상황에서 공급망 차원의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한국지엠 공급망 연석회의를 꾸려 지부뿐 아니라 부품사·협력업체와 정비업체·영업점까지 망라한 산업 대안을 고민하고 있다. 안규백 지부장은 “철수론까지 나오는 마당에 노조는 이렇게 노력하고 있는데 사용자쪽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며 한국지엠 경영진의 역할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