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머리 맞대는 여야정, 추경 급물살 타나

여야정협의체 실무협의 4일 개최 … 국정 주도권 신경전 계속

2025-02-03     강한님 기자

12·3 내란사태 이후 민생 현안을 논의하는 여야정협의체 실무협의가 4일 재가동한다. 여당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여야정협의체에서 논의하자고 입장을 선회한 가운데, 야당도 “추경에 대한 국민의힘 의지가 진심이라면 즉시 협의체를 가동해 추경 논의를 시작하자”고 답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추경을 논의하자고 했는데, 말씀의 취지에 동의하고 환영한다”며 “최근 국회 예산정책처도 예산 조기 집행만으로는 부족하고, 하반기 경기 둔화가 우려돼 추경 논의를 서둘러야 된다고 제언했다. 지금은 비상계엄 사태로 급락한 소비심리, 멈춘 경제 심장을 되살려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 대표에 여야정협의체 복귀를 요구한 권 원내대표 발언에 이 대표는 “앞으로 거짓말할 때마다 번호 매겨서 지적하겠다”고 날을 세웠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2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대표가 민생에 진심이라면 여야정협의체에 복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추경은 이르다며 여야정협의체를 불발시킨 쪽은 여당이었다. 이 대표는 “여야정협의체 실무협의가 국민의힘의 추경 거부로 진행이 안 됐던 건데 그걸 왜 야당이 불참한 것처럼 이야기하냐”며 “정치하려면 신뢰가 있어야 하고 신뢰의 기본은 거짓말하지 않는 것”이라고 불쾌함을 드러냈다.

이날 오후 우원식 의장도 임시국회 개회사에서 추경을 당부했다. 우 의장은 “협의회를 통해 초당적 의제에 대해 큰 틀에서 원칙을 정리하고, 국회 각 상임위원회에서 이를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며 “가능한 이른 시일 안에 1차 협의회를 열어 추경 편성 및 민생경제 입법에 대해 논의하고, 산업통상 이슈에 대해 함께 대응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다만 여당은 내세워 왔던 민생 현안인 반도체특별법 등 이른바 미래 먹거리 4법을 여야정협의체에서 요구할 계획이라,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한 야당과의 신경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추경은 야당이, 반도체특별법은 여당이 국정 주도권을 잡으려는 형국이다. 이날 오후 김대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AI 추경 주장하며 반도체특별법을 미루는 민주당은 이번에는 진정성을 보여 달라”며 “우회전 깜빡이를 켠 김에 이번에는 우회전을 해 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