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사태 45년 되는 날 “국민과 싸우겠다는 윤석열”

노동·사회단체 “망상 속 내란 고백, 탄핵·구속해야”

2024-12-12     제정남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12일 담화를 노동·시민·사회단체는 ‘망상’으로 규정했다. 이날은 전두환 12·12 군사반란 발생 25년이 되는 날이다.

한국노총은 이날 성명을 내고 “윤석열의 이번 담화는 전 국민을 상대로 한 ‘내란’을 멈추지 않을 것임을 선포한 것”이라며 “위헌적인 비상계엄이 결국 보수극우 유튜브에서나 볼 수 있는 삼류 저질의 음모론과 망상에서 비롯된 것임을 스스로 자백한 것”이라고 밝혔다. 음모론과 망상에 빠진 윤석열 탄핵과 신속한 체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의 성명은 짧았다. 이날 성명에서 “윤석열의 대국민 담화는 한마디로 범죄자의 망언에 불과하다”며 “광란의 칼춤 추는 윤석열을 즉각 탄핵, 구속시키자”고 촉구했다.

양대 노총 산하 조직도 속속 입장을 밝혔다. 금융노조는 “담화문 발표 직후 국내 증시는 다시 또 출렁거렸고, 금융시장과 경제의 최대 리스크가 윤석열이라는 방증”이라며 “내란정당 국민의힘도 이번 담화문을 통해 탄핵 표결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업 중인 금속노조는 “전두환은 12·12 쿠데타를 일으켜 민주주의 열망을 짓밟고, 노동자·민중의 삶을 빼앗았다”며 “45년이 지난 오늘 윤석열은 ‘끝까지 국민과 싸우겠다’는 담화를 내놨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퇴진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입장문을 내고 “윤석열은 허무맹랑한 망상에 기반한 ‘반공몰이’ 등의 주장을 통해 자신을 비판하는 국민과 야당을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반국가 세력으로 규정했다”며 “내란범죄를 스스로 자인하고 정당화하고 있는 범죄자, 국민 위에 군림하려는 독재자, 극우적 망상에 사로잡힌 윤석열이 더 이상 대통령직을 수행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비상행동은 국회 탄핵과 수사기관에 의한 체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경실련은 논평을 내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책임을 야당에게 돌렸다면서 “야당의 탄핵안은 의회의 고유 권한이며, 국정 마비와 같은 정치적 갈등은 군사력이 아닌 정치적 대화로 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이 극우 보수 유튜버들의 부정선거설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지 심각히 우려된다”며 “계엄이 성공했다면 국회의원 체포와 포고령 발동 등 심각한 헌정 위기를 초래할 뻔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대국민 담화가 아니라 국민의힘과 헌법재판관들을 향한 변명문에 불과하다”며 “국민의힘 의원들은 대통령의 이번 담화에 휘둘리지 말고, 탄핵안 표결에 참여해 진정으로 국민의 뜻을 받들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문화연대는 논평에서 “전두환 군부독재 일당이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했던 12·12 사태의 그날, 친위쿠데타에 실패한 윤석열이 다시 한 번 담화라는 이름의 대국민 선전포고를 발표했다”며 “더 큰 불행을 막는 방법은 탄핵밖에 없다. 재빠른 탄핵을 통해 저 야만의 언어를 공론장에서 걷어내지 않는다면 시민과 시민이 싸우게 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달을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긴급논평을 내고 “여전히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 채 극우 미디어의 허위선동 콘텐츠가 주장할 법한 망상에 빠져 있는 모습을 볼 때, 그가 또 무슨 위험한 일을 저지를지 극심히 우려스럽다”며 “윤석열이 단 한 시간이라도 대통령직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드러냈다. 더 이상 윤석열은 대통령이 아니다. 당장 직무정지를 위한 탄핵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은 “담화가 아니라 내란수괴의 추악한 변명”이라며 “같은 세상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다. 한 나라의 대통령이었던 자라고는 믿을 수 없는 수준이다. 그저 참담함을 금할 길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스스로 내려오지 않겠다면 강제로 끌려내려 오는 것밖에 남지 않았다”며 “농민들이 다시 일어나고 있다” 경고했다.

한편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실천불교승가회·원불교사회개벽교무단·기독교시국행동 등은 1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윤석열 탄핵 촉구 4개 종단 시국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연윤정, 제정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