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에 다가온 탄핵안 처리, 여당 “반대 당론” 입장으로 ‘안갯속’
한동훈 “직무정지 필요” 호소, 혼란에 빠진 여당 … 여당 소신파에 표결 결과 맡겨져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표결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폭탄을 터트렸다. 탄핵소추안 찬성을 시사하자 부결을 당론으로 정했던 여당 내부가 혼란에 빠져든 형국이다. 탄핵 반대 당론이 뒤집어 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개별 의원의 선택이 탄핵소추안 처리 여부를 가를 것으로 점쳐진다.
입장 쪼개졌지만, 국민의힘 ‘탄핵 반대’ 당론 변경 가능성 작아
국민의힘은 6일 오전 국회 본청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대한 대응 논의를 진행했지만 같은날 밤까지 결론을 내지 못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지금까지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와 함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는데 어떤 결론을 아직 내린 것은 없고 (의원총회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의원총회 개최는 한 대표의 입장 선회가 발단이 됐다. 한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정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탄핵소추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던 기존의 입장을 바꾼 것으로 해석됐다. 이후 한 대표와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한남동 관저에서 만났지만 성과는 없었다. 대통령은 만나고 온 한 대표는 “직무정지 판단을 뒤집을 만한 말을 못 들었다”고 밝혔다. 직무정지 혹은 탄핵에 찬성해야 한다는 여당 일부 의원의 목소리가 커졌다.
의원총회에서 탄핵소추안 부결 당론을 변경하자는 주장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신 원내수석대변인은 “구체적으로 탄핵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말한 의원은 기억에 없고, 지금까지 결정된 당론은 그제(탄핵소추안 부결) 당론”이라며 “그것을 변화하려면 당론 변경에 관한 문제 제기를 누군가 해야 했는데 그런 논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한 대표의 직무정지 필요성 언급과 관련해서는 “각자의 의견을 말하는 것이어서 (당내) 신뢰가 깨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7일 오후 5시 표결, 여당 찬성표 얼마나?
야당은 상황을 지켜보며 여당에 탄핵소추안 찬성을 촉구하고 있다. 한 대표가 직무정지 필요성을 강조하고, 윤 대통령이 여당 의원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로 올 수 있다는 소식이 나오자 야권이 탄핵안 표결 일정을 당길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반발하는 가운데 ‘방문설’로만 그쳤다. 대통령실은 국회 방문 계획이 없다고 공지했다. 여당 의원총회가 길어지자 야당은 본회의 개회를 급하게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개회 시간은 2시간여 앞당긴 7일 오후 5시께로 정해졌다.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려면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인 200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범야권이 192명이어서 여당의원 8명의 동의가 필요하다. 여당은 표결 전 의원총회를 다시 열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다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본회의 전까지 윤 대통령이 메시지를 내놓을지, 그 내용이 무엇일지도 여당을 움직이는 변수가 될 수 있다.
한편 민주당은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내란죄 공범”이라 규정하고 국가수사본부에 고발했다. 추 원내대표는 비상계엄 선포 당시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번 번복하며 국회 본회의 표결을 고의로 지연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민주당 법률위원회는 “추 원내대표는 헌정질서가 무너질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여당 의원들을 당사로 유인해 혼란을 부추기고 국회의장에게 본회의 표결 시간을 연기하도록 요청하며 명백히 국회의 계엄 해제요구안 표결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