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을지대병원 파업 장기화에도 노사 ‘평행선’
파업 29일차 … 노조 “재단이 사태 해결 나서야”
보건의료노조 노원을지대병원지부(지부장 차봉은) 전면파업이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태 해결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노조는 사태 해결의 ‘키’를 쥔 을지재단 회장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했다.
노조 서울지역본부는 7일 오후 서울 노원구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이 29일 차에 접어들었지만 지금까지 진전된 내용은 사측이 임금총액 2.5% 인상안을 낸 것 외에 전혀 없다”며 “교섭의 실질적 결정권자인 을지재단 회장의 결단이 없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서울본부와 노원을지대병원지부 설명을 종합하면 노사는 6월25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교섭을 이어 왔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고 지부는 결국 지난달 10일 전면파업에 돌입했다. 지부는 임금인상 외에도 야간근무 누적 7개당 1일 유급 수면휴가 부여를 포함한 교대근무자 처우개선과 징계위원회에 지부장 참여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측은 임금인상안을 제시한 것 외에 단협 요구안에 대해서는 협상의 여지 없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만 고수하고 있다는 게 본부의 설명이다.
2017년 노사합의 이행도 핵심 쟁점이다. 2017년 지부 파업 이후 △2020년까지 전체 정규직 비율 90% 이상으로 상향 △2022년까지 사립대병원과의 임금격차 해소를 합의했는데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본부에 따르면 정규직 비율이 2018년 84.1%에서 2024년 84.5%로 사실상 개선되지 않았고, 임금도 간호사 초임은 서울지역 타 사립대병원 대비 78% 수준이고 의료기사의 경우 66% 수준이다.
현장노동자들은 의정갈등으로 인한 피해가 보건의료 노동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증언했다. 병동 간호사 A씨는 “전공의 집단행동 이후 진료지원 간호사로 차출돼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로 각종 불법업무를 강요당했다”며 “무급휴가와 연차 사용을 강요하고 강제로 부서 이동을 시켰다. 더 이상 버틸 수 없어 파업에 나섰다”고 말했다. 2021년 정규직이 됐다는 물리치료사 B씨는 “병원은 의료장비, 수술대 재료 등에 투자하고 있다며 정규직 전환을 우선순위에서 뒤로 미루고 있다”며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수익 악화로 환자 안전과 치료에 힘쓴 우리가 피해를 봐야 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차봉은 지부장은 “2017년 48일간 파업 과정에서 요구한 여러 현안들이 7년이 지난 지금까지 반복돼서 문제를 개선해 달라고 조합원들이 외치는 것”이라며 “(재단측은) 지금부터라도 교섭장에 나와 조속한 병원 정상화를 위한 대화의 물꼬를 터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