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노조 “적자라며 송도병원 강행? 납득 안돼”
노조 “임금인상 안 된다며 수천억 원 투자는 유지” … 수도권 3천300병상 두고 송도 800병상 추가 “바람직 않다”
세브란스병원노조가 송도세브란스병원 건립계획을 포기하라고 사용자쪽에 요구했다.
노조는 올해 임금교섭에서 사용자쪽에 “의정사태 장기화로 수천억 원대 적자를 우려하면서 투자를 강행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교직원을 희생양 삼은 병원 개원은 안 된다”고 주장했다고 9일 밝혔다.
송도세브란스병원은 2026년 말 개원을 목표로 연세대 국제캠퍼스 8만5천800제곱미터(㎡) 부지에 짓고 있는 800병상 규모 병원이다. 2022년 2월 착공했다.
이날 노조는 “임금인상은 안 되고 수천억 원대 투자계획은 유지한다는 (연세)의료원을 납득할 수 없다”며 “송도세브란스병원 건립계획을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에 따르면 올해 임금교섭에서 사용자쪽은 의정사태로 수천억 원 적자라며 임금인상 자제를 요구했다.
노조는 송도세브란스병원 건립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강남·신촌·용인에 3천300병상에 이르는 초대형 병원을 운영하는 연세의료원이 수도권에 800병상을 더 확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의사 수급이 우려되는 마당에 2026년 송도세브란스병원까지 개원하면 의사 없는 병원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고 용인세브란스병원 개원 당시에도 경험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 의대 정원 증원으로 촉발된 의사단체와 정부 간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고 교수가 사퇴하는 등 향후 2~3년간 안정적인 의사 수급에 적신호가 켜졌다.
노조는 수익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노조는 “개원 초 적자는 불가피한데, 현 상황에서 의료원이 추가 적자를 감당할 수 없다”며 “용인세브란스병원도 빠르게 성장했지만 개원 4년이 지난 지금도 적자로, 송도세브란스병원의 적자로 비워진 곳간을 인건비 절감분으로 채우려는 계획은 허락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세브란스병원 노사는 6월부터 교섭을 시작해 10일 10차 실무교섭을 앞두고 있다. 노조는 추석연휴 전 타결이 어렵다면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신청도 검토할 계획이다. 조정이 시작되면 15년 만의 교섭결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