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 홈플러스 ‘먹고 튈’ 준비?
익스프레스 쪼개기 매각 추진 … “사모펀드 규제 필요, 약탈금지법 도입해야”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매각을 추진하자 이른바 ‘먹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사모펀드 MBK의 홈플러스 밀실분할매각 비판, 지속가능한 대안 모색 국회 토론회’에서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익스프레스 매각 시도는) 쪼개기 매각의 시작”이라고 꼬집었다. 토론회는 마트노조와 정혜경 진보당 의원이 주최했다.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홈플러스의 기업형 슈퍼마켓으로, 소비자가 온라인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면 배송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홈플러스 노동자들은 MBK파트너스가 익스프레스를 매각한 뒤 홈플러스를 또 다른 사모펀드 운용사에 팔거나, 영업실적이 좋은 매장을 쪼개서 매각할 것이라 걱정하고 있다.
안수용 지부장은 “MBK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2년 동안 1조원을 투자해 홈플러스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약속은 지금까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회사는 익스프레스를 매각한 후 그 수익금을 대형 매장에 투자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하지만 초기 투자 약속도 지키지 않는 MBK의 말을 믿을 수 없다”고 했다.
홈플러스에 대한 제대로 된 전략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게 노동자들의 의견이다. 안 지부장은 “MBK 인수 이후 홈플러스 직영 직원은 꾸준히 감소해 2015년 대비 약 6천명이 줄었다”며 “MBK는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홈플러스를 산산조각 내 팔 생각만 하지 말고 건실한 기업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사회단체·전문가들은 기업을 인수한 뒤 비용 감축·자산 매각으로 가치를 올려 ‘먹튀’하는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경제팀 팀장은 미국의 상원 의원 엘리자베스 위렌이 제안한 ‘약탈금지법’을 국회가 눈여겨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약탈금지법은 △사모펀드가 피인수회사로부터 수취하는 각종 수수료에 100%의 세금 부과 △피인수회사의 부채, 소송비용, 해고 노동자에 대한 보상 등 책임 명시 △파산 절차에서 노동자의 임금 우선 지급 등을 명시하고 있다.
김성혁 민주노동연구원 원장도 “사모펀드는 인수한 기업을 보유 현금이나 자산을 빼먹고 약탈하는 대상으로 간주한다”며 “탈 많은 사모펀드를 규제해야 하는데 현재의 법체계로 가면 상당히 어렵다. 문제가 있을 때마다 공론화하며 구체적인 입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